이재명 대통령.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28일 미국 현지 협상단으로부터 한미 통상 협의 진행 상황을 보고받고, 관계 부처 장관 및 주요 참모들과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끝까지 국익을 위해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면 브리핑에서 "회의에선 통상뿐 아니라 경제, 외교, 안보 등 전 분야에 걸쳐 심도 있는 토의를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강 대변인은 "회의엔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김용범 정책실장을 비롯해 이번 주 방미를 앞둔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조현 외교부 장관도 참석했다"고 전했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미국에 체류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도 회의에 참석해 미국 러트닉 상무장관, 그리어 USTR(미국무역대표부) 대표와 협의한 내용을 보고했다.
이 협의는 지난 주말 워싱턴 D.C.와 뉴욕에서 열린 두 차례의 한미 상무장관 회담을 계기로 성사됐으며, '조선업 협력' 등 주요 현안이 논의됐다.
강 대변인은 "정부 출범 이후 G7(주요 7개국),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등 다자 회의와 통상교섭본부장의 수차례 방미 활동 등 대미 통상협의를 위해 숨가쁘게 달려왔다"며 "특히 기획재정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경제·외교·통상 수장이 임명된 후 미국과의 협의에 총력전으로 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정관 장관과 여한구 본부장은 앞으로도 해외에 체류하며 미국 상무장관과 USTR 대표를 접촉할 예정"이라며 "이번주 중 구윤철 부총리와 조현 장관도 미국을 방문해 각각 베선트 재무장관과 루비오 국무장관과 회담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여러 가지 가능성에 대비해 냉철하고 차분하게 협상에 임하고 있다"며 "'국익'을 가장 큰 기준으로, 주어진 여건 속에서 여러 변수를 고려해 가장 바람직한 방안이 무엇인지 더욱 치열하게 고민하고 협의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우상호 정무수석도 브리핑 질의응답 과정에서 "대통령실은 관세 협상에 매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 수석은 '농축산물 수입 개방'과 관련해 "미국 측의 압박이 매우 거센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양보의 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비관세 의제 중 국방비 증액과 미국산 무기 구매가 논의되고 있는지'에 대해선 "그 문제도 협상 목록에 들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어느 수준으로 협상 진행 중인지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