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차기 대통령 집무실 위치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17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가 관람객들로 붐비고 있다. 류영주 기자"마지막이 될 수 있으니까."
지난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 관람하려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결과에 따라 대통령 집무실이 다시 청와대로 옮겨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날 청와대에는 '어쩌면 마지막이 될 수도 있는' 풍경을 눈에 담으려는 시민들을 비롯해 오색빛깔 한복을 차려입고 기념 촬영을 하는 외국인 관광객까지 인파로 활기가 넘쳤다.
함께 동행한 청와대 재단 관계자는 화창한 날씨의 영향으로 관람객 수가 늘었다고 귀띔했다. 다만,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청와대 복귀에 대한 관심이 커지긴 했지만, 탄핵 선고의 영향이라고 단정 짓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차기 대통령 집무실 위치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17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의 모습. 류영주 기자윤 전 대통령 탄핵 직후 첫 주말인 지난 5일과 6일 이틀 간 청와대 관람객 수는 1만 6038명에 달했다. 이는 직전 주말인 3월 29일(6164명), 30일(4622명) 관람객 수를 합한 1만786명보다 5252명이 늘어난 수치지만, 지난해 3~4월 기간 주말·휴일 관람객은 이보다 많은 2만 명대로 집계됐다.
청와대로 들어가는 길은 한 마디로 '철통 보안'이다. 관람객은 보안 검색대를 반드시 통과해야 하고, 7만 7천평 규모 곳곳에 보안 요원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관람객이 잔디를 밟는 등 행위를 철저히 통제하며 시설물 훼손 방지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현재 청와대 재단은 본관, 영빈관, 춘추관 등 주요 공간을 개방하고 있다. 특히 본관 내부에 있는 역대 대통령의 초상화와 국무회의실, 외빈 접견실, 집무실 등 다양한 볼거리가 관람객의 인기를 끌었다. 다만 일부 건물은 차단선을 설치해 관람객의 접근을 막고 있다.
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차기 대통령 집무실 위치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17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관저의 모습. 류영주 기자취재진과 만난 관람객 대다수는 윤 전 대통령 파면과 조기 대선을 방문 계기로 꼽았다. 경기도 부천에서 아내와 함께 청와대 나들이를 온 홍모씨는 "(대선이 끝나면) 다시 못 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최근 날씨가 안 좋아서 못 했던 벚꽃 구경도 할 겸 오게 됐다"고 말했다.
대전에서 7세 아들과 함께 청와대를 관람한 이모씨는 "서울에 볼 일이 있어서 왔는데, 여행 삼아 아이와 함께 청와대에 오게 됐다. 곧 문을 닫을 수도 있어서 꼭 보여주고 싶었다"고 전했다.
관람객들은 대통령 집무실의 위치가 세종으로 거론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생각을 전했다. 곧 세종으로 이사 갈 계획이라고 밝힌 이씨는 "세종 이전을 반기지만, 인프라를 더 구축해야 할 것 같다. 아직 도시가 작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며 "대통령 임기 한 번으로는 안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홍씨도 "일단 용산에서 집무를 보다가 청와대를 쓰든 세종으로 가든 결정할 것 같다"며 "상징적인 면을 보면 청와대를 쓰는 게 맞지만, 인구 밀집과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세종으로 가는 게 좋을 것 같다. 서울에 밀집된 인구가 분산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차기 대통령 집무실 위치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17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본관의 모습. 류영주 기자대통령 집무실을 다시 청와대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경기도 고양에서 온 곽모씨는 친구들과 청와대를 둘러본 뒤 "이 좋은 곳을 두고 왜 용산으로 갔는지 모르겠다. 정말 바보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의 파면에 대해선 "과연 터가 문제였을까. 오히려 정치 철학이나 이런 게 문제가 아니었나 싶다. 용산으로 옮기고 터를 탓할 수는 없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주장한 그는 "용산은 국방부와 밀접해 거리를 둘 필요가 있지 않나 싶다. 일단 청와대로 돌아오고, 세종 이전은 장기적인 과제로 검토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청와대 재단은 5월1일부터 6일까지 황금 연휴를 맞아 저녁 7시부터 9시까지 야간 개방 행사를 진행한다. 이 또한 마지막 청와대 야간 개방이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