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주불 진화가 완료된 경북 안동시 남후면의 산들이 까맣게 타 있다. 연합뉴스지난달 경북 지역 산불 피해 규모가 9만 9천여ha(헥타르)에 달하는 것으로 잠정 확인됐다고 18일 산림청이 밝혔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역별 잠정 산림피해면적은 △경북 9만 9289ha(의성 2만 8853ha, 안동 2만 6709ha, 청송 2만 655ha, 영양 6864ha, 영덕 1만 6208ha), △경남 3397ha(산청 2403ha, 하동 994ha), △울산(울주) 1190ha다.
이번 산불의 경우 비화 등 산불의 빠른 확산과 산불 진화 이후 열로 인한 추가 고사 등으로 피해면적이 증가했다는 게 산림청 설명이다.
이번 산불 피해 규모와 관련해 혼선 논란도 있다.
산림청은 산불 진화 이후 지금까지 경북 지역 산불영향구역이 4만 5천여ha라고 발표해 왔는데, 정밀 조사 결과 기존 발표의 2배 수준까지 피해 규모가 커진 것이다.
이에 대해 산림청은 "기존 발표한 '산불영향구역'은 산불진화를 위한 것으로 산림복구를 위해 이번 현장조사를 통해 파악된 '산불피해면적'과는 활용 목적과 산정 방식에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산불영향구역은 산불진화 전략 수립을 목적으로 헬기영상, 드론영상, 지상관측 등에서 파악한 화선 경계를 표시한 구역을 의미한다. 반면, 산불피해면적은 산불 피해복구를 목적으로 실제 현장조사를 통해 산불피해가 발생한 산림 면적을 뜻힌다.
특히 이번 산불의 경우 극한기상으로 인한 태풍급 강풍으로 불이 빠르게 지나가서 산불이 꺼진 지역은 화선이 존재하지 않아 산불영향구역으로 포함되지 않았으며, 강풍, 연무 등으로 화선 관측 장비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산림청은 부연했다.
산림청 제공한편 이번 산불 1차 피해조사는 지자체가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8일까지 시행했다.
이후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이 1차 피해조사 결과에 대해 지자체와 같이 2차 현장확인을 이달 9일부터 15일까지 진행했다.
이번 산불로 인한 최종 피해 면적은 추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산림청은 "향후 초고속·초대형 산불에 대비해 강풍, 연무 상황에서도 화선 관측이 가능할 수 있는 고정익 항공기, 중·고고도 드론, 위성 영상 활용 등 2중, 3중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