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와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오른쪽)가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가진 우원식 국회의장과의 회동에서 의사일정 등과 관련해 합의에 이르지 못한 채 의장실에서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여야는 31일 국회 본회의를 비롯한 의사일정 등을 논의했지만 세 차례 회동에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날 저녁 예정됐던 4차 회동 역시 불발됐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와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열린 원내대표 회동을 가졌지만 의견 차이만 확인한 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 등을 위해 정부가 10조 원 규모의 추경을 공식화했지만, 추경을 의결해 줄 국회에서는 여야 입장차만 되풀이되는 모습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다음 달 1일부터 '상시 본회의'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국민의힘은 필요시 합의에 따라 개최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추경 논의, 산불 피해 대책, 외교적으로 민감국가 문제, 최상목 부총리가 경제위기 시에도 미국 국채를 사는 태도, 더 나아가서 지금 헌정질서가 유린당하는 문제가 워낙 크기 때문에 4월 1일부터 상시 본회의를 열었으면 좋겠다고 국회의장에게 말했다"고 밝혔다.
이어 "4월 1일 법안 처리, 2~4일 현안 질의 본회의를 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국민의힘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는 "지난 27일 열기로 돼 있었던 본회의가 산불 때문에 순연됐으니 4월 3일 본회의를 열고 그 이후에 4월 임시국회 일정을 합의하면서 필요하다면 긴급 현안 질의를 하루 정도 할 수는 있겠다고 우 의장에게 얘기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감국가는 이미 상임위 차원에서 충분히 논의했고 결과도 이미 국민들이 다 알고 있다"며 "추경은 각 상임위에서 다루고 그다음 예결위 단계를 거쳐 본회의로 온다. 그걸 뛰어넘어 바로 본회의를 열자는 것은 지금까지 국회 관례상 맞지도 않고 법리에도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여야 원내지도부는 다음날 다시 만나 본회의 일정 확정을 위한 추가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박찬대 위원장 31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린 모습. 연합뉴스한편 민주당 등 야당은 이날 오후 운영위에서 다음달 1일부터 4일까지 본회의를 개최하는 의사일정을 의결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일방적 의사 진행이라며 회의에 불참했다.
야당의 이날 운영위 의결은 민주당에서 거론되고 있는 한덕수 권한대행과 최상목 경제부총리에 대한 탄핵 움직임과 연결된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민주당 내에서는 한 권한대행이 다음 날인 오는 1일까지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을 경우, 한 대행과 최 부총리를 모두 탄핵해야 한다는 이른바 '쌍탄핵론' 주장이 나오고 있다.
탄핵소추안은 발의된 후 처음 열리는 본회의에서 보고되면 24시간 이후 72시간 이내에 본회의에서 표결해야 한다. 민주당이 1일 탄핵안을 발의하면, 2일 본회의에서 보고를 하고, 4일 이전에 이를 표결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