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백 최소화'라더니…수술 연기에 우는 환자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암수술 연기 통보받은 환자가족, 청와대 청원 올려
대전협 "의사를 필요로 하는 곳에는 전공의가 있다" 주장
23일 정세균 총리와 대전협 면담 '코로나19 대응 진료 참여 합의'

(사진=자료사진)

 

전공의들이 집단휴진에 돌입하면서 의료공백을 최소화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우려했던 의료대란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지난 21일부터 집단휴진에 돌입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공공의대 설립, 의사정원 확대 및 지역의사제, 첩약급여화, 한의사에게 의사면허부여 등 총 4가지 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을 내고 있다. 이에 진정성있는 대화와 논의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집단휴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국적인 재확산과 맞물리면서 국민의 목숨을 담보로 하는 투쟁이라는 지적이 따른다.

집단휴진 첫 날 서울성모병원은 인력 부족으로 코로나19 단순 희망자에 대한 검사 업무를 중단하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의료공백으로 인한 피해를 주장하는 사례들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청와대 홈페이지 캡처)

 

21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전공의 파업으로 인한 암수술 무기한 연기"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

청원인은 "전공의 파업으로 인해 다음주에 잡혀있던 저희 엄마의 암 수술이 연기됐다"면서 "날짜를 다시 잡아주긴 했지만, 병원 측에서는 그 날짜도 확신할 수 없이 무기한 연기라고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응급환자나 암환자, 그리고 이 외에도 급한 환자들의 수술 건에 대해서는 책임지고 수술에 임해야 한다"며 "이미 잡혀져 있는 수술에 대해서는 책임 지고 의료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해당 청원은 SNS를 통해 급속도로 퍼지면서 23일 현재 2749명의 동의를 받았다.

이외에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예정돼있던 수술의 연기, 접수 불가 등 의료서비스를 받지못해 하소연하는 글들이 쏟아지고 있으며 의료파업에 대한 여론의 시선은 싸늘하다.

대전협 비대위는 22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단체행동 진행중인 이 순간에도 반드시 의사를 필요로 하는 곳에는 전공의가 있습니다"라고 밝혔지만 환자가 의료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진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회장단과 면담에서 인사말을 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여론과 정부의 비판을 받아온 대전협은 23일 밤 정세균 국무총리와 면담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대전협은 코로나 대응을 위한 진료 참여에 합의했다. 하지만 전공의 단체행동 철회를 하는 것은 아니라고도 밝혀 앞으로도 집단휴진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0

0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