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적 욕구에 숨은 '행복경제'의 힘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2014-01-28 11:03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설특집 | 국민행복, 바로 세우자

 

50년 전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82달러에 불과했다. 지금의 243분의 1 규모다. 하지만 그때 그 시절은 지금처럼 팍팍하지 않았다. 인간미가 넘쳤고, 자살ㆍ우울증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많지 않았다.

행복을 동경하지 않는 이는 없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행복을 향한 동경심은 형이상학적이거나 감성적 차원만의 문제는 아니다. 실제 삶의 영역에서도 행복은 절실하게 요구된다. 특히 하루 평균 43명 이상이 목숨을 스스로 끊는 대한민국에서 행복은 더욱 필요한 가치다. 정치ㆍ경제ㆍ종교ㆍ교육 등 다양한 시스템을 통해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1961년 82달러에 불과하던 우리나라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만 달러를 넘어섰다. 경이로운 경제발전이다. 하지만 이런 경제적 성장을 행복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우리나라 국민의 대부분은 삶의 질과 행복지수가 낮다고 생각한다. '예전보다 경제적으로 나아진 게 뭐냐'고 반문하는 이들도 많다. 실제로 부와 행복은 별 상관관계가 없어 보인다.

「하버드 인생성장보고서- 행복의조건」의 저자인 조지 베일런트에 따르면 경제적 부富는 행복의 7가지 조건 중 하나에 불과하다.그렇다면 돈이 얼마나 있어야 행복지수가 높아질까. 미국 갤럽연구소의 세계 최초 미래 행복보고서 「웰빙 파인더」는 행복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언제든지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돈을 갖고 있을 때 생기는 경제적 안정감은 전반적인 웰빙이 미치는 영향력보다 3배 높다."

하지만 그것 역시 무한정 지속되는 영속적인 영향력은 아니다. 우리나라 1인당 GDP가 82달러에 불과했던 1961년도의 '사회적 웰빙'은 2만 달러가 넘은 지금보다 훨씬 더 친밀했고, 따스했고, 인간미가 넘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비록 죽 한그릇으로 하루를 때우기도 힘들었을지 모르지만 당시에는 노인과 어린이를 경제적 부담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은 노인과 어린이를 경제적인 부담요인으로 간주해 배척하거나 푸대접하는 사회가 돼 버렸다.

 

현대사회는 소유를 중시하는 물질문명의 단맛에 중독돼 무기력해져 가고 있는 '당뇨병 사회'다. 물질문명사회가 현대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강조하는 가치는 물건이 행복을 위한 가장 멋진 수단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감성을 자극하는 얄팍한 주장에 속은 대부분의 현대인은 행복한 삶을 위해서 보다 더 많이 생산하고자 노력했고 남들보다 더 많이 소유하고자 앞만 보고 달렸다.

운동장에서 1등을 목표로 죽자 살자 뛰어야 하는 선수처럼 이웃만이 아니라 자연법칙과도 경쟁해야 하는 삶 속으로 자신을 내던졌다. 이런 물질주의적 사고방식은 문화와 문명을 발달시켰지만 결국 인간소외 현상을 유발하고 말았다. 우리 사회의 인간미가 예전보다 훨씬 나빠졌다는 게 그 증거다. 경제력이 행복지수 상승에 결정적인 요소가 아니라는 것이다.

물질문명에 중독된 현대사회

우리는 행복을 '소유적 관점' 아닌 '존재적 관점'에서 찾아야 한다. 존재적 관점이란 물건과 자연과의 관계, 자신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호혜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선 물질주의적 세계관에 사로잡혀 '경제성장'으로만 행복을 평가할 수 없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