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비트 제공)
새해 금융권의 화두는 '해외진출'이다. 지난 3일 있었던 범금융기관 신년인사회에서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산업이 미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해외진출 확대에 힘써야 한다"고 밝혔고 금융권 CEO들도 한목소리로 해외사업을 언급했다.
이처럼 금융권이 해외시장 진출을 새해 과제로 삼고 있는 것은 국내 금융시장에서는 더이상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예대마진을 주수익원으로 하는 은행의 경우 대출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대기업은 은행 차입보다는 자기신용으로 자본을 직접 조달하거나 이익 잉여금을 이용하고 있고 가계는 대출잔액이 1천조를 넘어섰지만 가처분 소득의 감소로 건전성에 빨간 불이 켜진 상태이다. 그렇다고 중소기업 대출을 늘리기에는 은행으로서는 위험부담이 크다.
지난해 증시 침체를 겪은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들도 국내영업과 수익창출에 어려움을 맞고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국내 금융기관이 너나없이 해외진출을 나서고 있다. 여기에는 금융업을 차세대 유망서비스업으로 육성하려는 박근혜 정부의 정책도 한몫을 하고 있다.
지난해 9월 말 현재 해외에 진출한 국내금융기관 점포수는 모두 377개로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해외진출의 '질'을 보면 제자리 걸음을 걷고 있다는게 금융계 안팎의 분석이다. 몇년째 '현지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대다수 고객은 여전히 해외에 있는 교포, 주재원, 한국기업에 머물고 있다는 것.
해외에 진출한 국내금융기관 점포장은 "영업장이 사랑방 수준"이라며 "주고객층인 현지교포들의 각종 하소연을 들어주는게 주요 일과"라고 설명했다. 이 점포장은 "하지만 이들이 주요고객이다보니 박대할 수도 없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CBS노컷뉴스 이기범 기자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