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문·이과 통합' 공식화하나…남은 과제는?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대입제도 개선안 집중조명①]

 

교육부가 논란이 일고 있는 수능 문과.이과 융합 방안 추진을 다음달에 공식 발표할 지 주목된다.

수능 과목 융합정책이 추진된다고 해도 교육과정 개편 등 과제가 적지 않아 시행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문·이과 통합 논란 이어져

교육부가 지난 달 말 발표한 수능체제 개선 방안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당시 제시된 3가지 시안 중 수능에서 문.이과 구분을 없애고 완전 융합하는 내용이 핵심 쟁점이다.

문.이과 통합 찬성 진영에서는 창의적이고 융복합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통합교육 실시가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학생이 균형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문·이과로 구분돼 있는 수능시험 체제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박성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은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융합적인 인재 양성이 중요하다"며 "국가 미래 비전을 보고 입시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지식이 융합돼야 스티브 잡스와 같은 통합형 인재를 길러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수능이 문.이과 통합형으로 바뀌면 고교 현장에서도 통합교육이 본격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문.이과를 통합하면 학생들의 학습부담이 크게 늘고 사교육이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도 적지 않다.

또 문.이과 완전 융합안이 시행된다면 수학에서 미적분 II, 기하와 벡터 과목이 제외돼 대학 이공계열 모집단위에서 학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충분히 검증하지 않고 수능 체제 변화를 시도할 경우 교육 파행이 이뤄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정창우 서울대 교수는 "현 시점에서는 교육에 대한 급격한 변화보다는 점진적인 개선을 추구해야 한다"며 "현행 골격을 유지하는 안이 가장 적합하다"고 밝혔다.

융합과학과 공통사회로 수능 시험을 본다고 해서 학생들이 융복합적 사고를 한다고 볼 수 없는 만큼 교육 내실을 기하는 것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그러나 반대론자 중에서도 상당수는 문·이과를 통합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에 공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교육부가 중기과제로 보완대책 마련과 함께 수능 문·이과 융합안 추진을 공식화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앞서 교육부는 수능체제를 개선하기 위해 문·이과 완전 융합안과 일부 융합안, 구분안 등 3가지 시안을 발표했다.

3가지 시안에 포함된 내용을 혼합한 새로운 시험 체제 방안이 추진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문·이과 통합 선결 과제 산적

교육부는 현재 중학교 3학년이 대학에 진학하는 2017학년도 부터 새로운 수능체제를 도입할 수 있다는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문.이과 완전 융합안의 경우 계획대로 추진하기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교육과정 을 뜯어고치고 통합 교과서를 새로 만들어야 하는 등 현안이 쌓여 있기 때문이다.

먼저 문.이과 완전 융합안 추진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정이 필요하다. 정창우 교수는 만일 융합안을 추진한다면 전면 개정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융복합 교육과 고교의 융복합 교육이 연계돼야 하는 만큼 대폭 손을 봐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만들 때 빠르게 진행했는 데도 3년이 걸렸다"며 "전면 개정하면 최소 4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측했다.

공통사회 교과서도 문·이과 완전 융합안 추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내년에 발행되는 공통사회 교과서에는 일반사회와 지리만 있고 윤리와 역사는 빠져있다.

윤리.역사.일반사회.지리를 모두 포함한 공통사회 교과서로는 2020학년도 부터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상황이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