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 과로사 여군 父 "어떻게 죽어야 순직입니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 인제군에 산부인과 전혀 없어
- 하루 12시간 근무 후 녹초되기 일쑤
- 사단장도 인정한 순직, 육본은 부정
- 사망 7개월..딸 유골 여전히 방에


■ 방송 :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故 이신애 중위 아버지, 이재학 씨

지난 2월, 한 여군 중위가 임신 상태에서 과로를 하다가 그만 숨졌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순직에 해당이 되는 걸까요? 아니면 어려운 걸까요? 유족들은 ‘엄연한 순직’ 이라고 말을 합니다만, 육군본부는 ‘일반 사망’으로 처리를 했고요. 결국 이 사건은 국민권익위원회까지 올라갔습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순직처리가 맞다는 권고 결정’을 내렸는데요. 육군 측에서는 아직 아무런 입장 변화가 없습니다.

자,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오늘 유족 측의 입장 들으면서 생각을 해보죠. 임신 중에 사망한 이신애 중위의 아버님, 이재학씨가 연결 되어 있습니다.

◇ 김현정> 먼저 위로의 말씀을 전하면서 인터뷰를 시작 하겠습니다.

◆ 이재학> 네. 감사합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딸, 이신애 중위가 사망한 게 지난 2월이라고요. 그때 임신 몇 개월이었습니까, 정확히?

◆ 이재학> 임신 7개월이 막 접어들었을 때입니다.

◇ 김현정> 정확한 사인은 뭔가요?

◆ 이재학> 병원에서는 뇌출혈 쪽으로 보고 있습니다.

◇ 김현정> 사망하던 당시의 상황들, 혹시 설명 해주실 수 있을까요?

◆ 이재학> 그 날이 2월 2일 토요일이었습니다. 그 전부터 신애가 좀.. 많이 아팠던 것 같았어요. 한 달 동안은 여러 가지로 부대 일로 힘들었던 것 같고요. 그래서 오후 늦게 ‘배가 아프다’ 그래서 임신한 상태이기 때문에 병원은 가긴 가야겠고. 인제군 원통리에서 제일 가까운 데가 속초라서 속초 병원으로 갔습니다. 속초 산부인과였는데요.

그 병원에서 상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큰 병원으로 가보라’ 해서, 큰 병원은 또 강릉 쪽에 있습니다. 강릉에 갔더니 강릉에서도 심각하게 생각을 했던 거죠. 하지만 뱃속에 아기가 있기 때문에 뇌출혈에 관계된 그 수술을 하기 전에 먼저 제왕절개로 애부터 낳고, 그 다음 날 새벽에 신애는 그렇게 됐죠, 뭐... 그러니까 인제 군 숙소에서 속초로, 속초에서 다시 강릉으로 갔던 겁니다.

◇ 김현정> 가서 아기는 먼저 제왕절개로 낳고, 그 다음 날 뇌출혈로 이신애 중위는 사망한 거군요?

◆ 이재학> 그렇습니다.

◇ 김현정> 직접적인 마지막 사인은 뇌출혈이 된 거네요. 우선 아기는 건강합니까?

◆ 이재학> 그 당시 2월 2일에 태어났을 때에는 697g이었는데요. 4개월 동안 인큐베이터에 있다가 6월 1일에 대전 집으로 데려왔습니다.

◇ 김현정> 670g짜리 아기를 살리셨네요, 결국은.

◆ 이재학> 네. 병원에서 노력을 많이 했고요. 지금은 6kg이 됐습니다. 정상적인 아이보다는 약간 몸무게가 떨어지지만 그래도 신애 엄마가 사위하고 열심히 잘 키우고 있습니다.

고(故) 이신애 중위.

 

◇ 김현정> 그런데 그 뇌출혈이 있기까지, 그러니까 몸이 안 좋아지기까지의 원인에 대해서 유족은 어떻게 파악을 하시는 겁니까?

◆ 이재학> 참... 군인의 신분으로 업무는 해야 되고, 여러 가지 막중한 임무는 있고. 그것이 원인이었던 것 같습니다.

◇ 김현정> 과로와 스트레스 이런 거요?

◆ 이재학> 네. 과로하고 스트레스가 포함이 됐죠.

◇ 김현정> 임신 내내 몸이 안 좋다는 이야기를 호소 했나요?

◆ 이재학> 초반에는 그렇지 않았는데, 한 달 전부터 좀 힘들었던 것 같았어요. ‘많이 힘들다’ 얘기를 했어요.

◇ 김현정> 왜 힘들다고 얘기를 하던가요?

◆ 이재학> 그 업무가.. 단순하게 자기 업무만 하면 괜찮은데, 그 당시에 부대 참모로서 운영장교를 했습니다. 그 위에 운영과장이 있고요. 그 운영과장 위에 직속상관인 대대장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 운영과장이 공석이었습니다. 공석이니까 그 밑에 과장이 해야 될 것을 운영장교가 다 맡아서 하고, 그러다 보니까 조금 어려운 점이 있었을 것 같고요.

◇ 김현정> 임신한 상태에서 그럼 하루에 몇 시간이나 초과근무를 했던 건가요?

◆ 이재학> 하루에 12시간 이상 일을 했던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까 초과근무가 한 달 동안 아마 50시간 이상, 53시간인가 그렇게... 그리고 그 당시, 한 달 전에 대대장이 교체가 됐어요. 대대장 교체됐고 운영과장은 없고. 그러니까 얘가 인사, 정보, 작전, 군수를... 물론 다른 사람들도 같이 했지만 거의 책임감 때문에 이것저것 다 하다보니까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던 것 같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그렇게 몸이 안 좋아지면 검진을 신청해서 가면 되는 것 아닙니까?

◆ 이재학> (한숨) 참모이기 때문에 통상 밤늦게 퇴근을 합니다.

◇ 김현정> 12시간 근무하고 몇 시쯤이 된다는 겁니까?

◆ 이재학> 밤 8시가 될 때도 있고, 9시가 될 때도 있고. 그렇게 되면 그 다음 날 보고 준비를 또 해야 되기 때문에 일단은 병원을 못 가죠. 병원 가려면 왔다갔다 세 시간이상 걸리거든요. 춘천을 가더라도 3시간 이상 걸리고.

◇ 김현정> 인제 군부대 주변에는 병원이 그렇게 없습니까?

◆ 이재학> 산부인과가 인제군 전체에 한 군데도 없습니다.

◇ 김현정> 그러면 만약 8, 9시에 퇴근하고 나서 산부인과 가려면 밤 12시가 된다는 얘기네요. 그러면 그 다음 날 준비가 또 안 되고.

◆ 이재학> 엄두를 못 낸 것 중의 하나가 너무 피곤하니까 일단 퇴근하면 쓰러져 자기 바빴던 거죠. 새벽에 일어나서 또 보고 준비해야 되니까.

◇ 김현정> 그런데 임산부는 7개월 정도가 되면 2주마다 한번씩, 산부인과 가서 꼬박꼬박 체크를 해야 되는데. 그것도 못했나요?

◆ 이재학> 원래 부대에서 배려를 해가지고 3월에 출산 휴가 계획은 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이 아이가 3월까지 버티려고 했던 거죠.

◇ 김현정> 부대에서 휴가나 검진을 못 가게 막은 것은 아니고요?

◆ 이재학> 그건 아닙니다. 스스로 책임감 때문에 그랬고요. 그리고 평상시에 몸이 아프면 참아야죠. 왜냐하면 그 휴가 계획 이런 것은 1개월 전에 올려야 돼요. 그러니까 갑자기 아픈 것은 참고 그래야 되죠.

◇ 김현정> 병이라는 건 갑자기 아플 수가 있는데, 휴가 계획을 한 달 전에 올려야 된다고요?

◆ 이재학> 통상적으로 부대 특성상 그렇습니다. 갑자기 휴가 가는 것은 없습니다.

◇ 김현정> 아니, 임산부가 갑자기 아파질 수가 있는데 휴가가 바로 안 된다고요? 그럼 계획하고 아파야 됩니까?

◆ 이재학> 그러니까 그런 면에 있어서는 군 특성상 그게 좀... 그래 가지고 3월에 계획이 되어 있고 거기에 맞춰서 해야 됩니다. 갑자기 아픈 것은 속수무책이죠.

◇ 김현정> 거기다가 군인정신이 투철했다고 들었어요.

◆ 이재학> 남한테 피해 안 주려고 자기가 열심히 했던 거죠.

◇ 김현정> 그러니까 휴가를 신청했는데도 군에서 막거나 이런 건 아니지만, 군인정신과 군부대의 특성상 휴가를 낼 수 없다는 점 때문에 과로를 하다가 사망한 것. 이렇게 정리가 되는데.

◆ 이재학> 맘대로 휴가 가고, 이건 아니고요. 특성상 군인들은 위수지역이라는 게 있습니다. 위수지역은 평상시에 어느 선까지 그 이상은 못 가게 되어 있습니다. 어느 지역 이상은 못 가게 되어 있습니다. 무슨 얘기냐 하면, 인제군에 근무하는 군인들은 춘천이나 속초는 사실상 못 가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휴가는 당연히 갈 수 있지만 갑자기 아프더라도 그건 인제군 내에서 해결을 해야죠. 그런데 산부인과가 없는 거죠.

◇ 김현정> 그렇다면 이것이 과연 업무상 재해, 즉 순직에 해당하는가. 이 부분이 걸리는 건데요. 유가족은 군 측에다가 ‘순직으로 처리해 달라.’ 이렇게 요청을 하신 거죠?

◆ 이재학> 요청을 했고, 인제군에 있는 사단에서 노력은 많이 했습니다. 이신애가 군인정신으로 열심히 했던 것을 부각 시켜서 육군본부에 올렸습니다. 더군다나 사단에서는 사단장님이나 하여튼 노력을 해서, 근무했던 것을 파악 해가지고 자그마한 추모비까지 생각을 했었어요. 그랬는데 갑자기 순직이 안 되고 단순 사망이 되니까 그 계획도 다 보류가 되고요.

(사진=이미지비트 제공)

 

◇ 김현정> 왜 육군본부 측의 답변은 일반 사망에 해당한다, 순직이 안 된다고 합니까?

◆ 이재학> 육군본부에서는 ‘자기가 임신해서, 자기가 아파서, 자기가 죽은 것을 어떻게 순직 처리하느냐. 그래서 그냥 단순사망으로 처리’ 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게 임신 중 사망한 여군이 여군 생긴 이래 처음 이래요. 이 아이가 여군사관 55기니까 1년에 한 번씩 뽑습니다. 그러면 수십 년이 됐거든요. 그런데 판례가 없습니다.

◇ 김현정> 그럼 판례라는 게 없으면 이번에 판결해서 만들면 되는 것 아닙니까?

◆ 이재학> 군 특성상 쉽지 않죠. 없는 것을 만든다는 게 쉽지가 않습니다.

◇ 김현정> 자신이 임신했고 자신이 아파서 죽은 건데 왜 순직이냐. 그럼 그 상황에서 벌어진 업무상의 과로라든지 스트레스 같은 건 전혀 인정이 안 된 겁니까?

◆ 이재학> 네. 일체 인정이 안 됐습니다.

◇ 김현정> 제가 말씀을 쭉 들어보니까 아버님도 군에 대해서 속속들이 잘 알고 계세요. 아버님도 직업군인이셨어요?

◆ 이재학> 네. 저도 군대생활을 좀 했습니다.

◇ 김현정> 그래서 누구보다 군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이시군요. 육군본부 측이 내놓은 공식 입장을 보니까 ‘이 중위의 뇌출혈이 임신성 고혈압으로 발생 했고, 군복무가 임신성 고혈압 악화에 영향을 미친 걸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일반사망으로 처리한다.’ 이렇게 진술이 되어 있네요. 여기에 대해서 유족의 입장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맞나요?

◆ 이재학> 네. 쭉 근무했던 동료들의 얘기를 들어 보면 과로가 당연히 맞는데 단순하게 처리를 하니까. 처음에는 분통이 많이 터지고, 지금도 마찬가지 입장입니다.

◇ 김현정> 아버님도 군인 출신이셨고, 고 이신애 중위 역시 군인정신으로 따지자면 정말 부대에서도 인정받는 군인이었는데, 뭐랄까요. 죽음 후에 이런 신세, 이런 취급을 당하니까 좀 서러운 생각이 드시겠어요.

◆ 이재학> 제가 가장 안타까웠던 게.. 이 아이의 유골이 몇 개월 동안 횡성의 군 봉안소에 있었습니다. 그런데 4월에 순직 부결 처리되면서, 그게 또 통보 받은 그 날부터 1개월 이내에 유골을 처리해야 됩니다.

◇ 김현정> 순직이 아니라고 판결이 되면, 바로 빼야 되는군요?

◆ 이재학> 네. 한 1개월 이내로요. 제가 횡성 갔다가 짐짝도 아니고 물건도 아니고, 유골하고 영정 사진을 가지고 오면서... 가슴이... 가슴이 많이 아팠죠. (울음)

◇ 김현정> 아, 아버님... 그래서 딸의 유골은 어떻게 하셨어요.

◆ 이재학> (울음) 제 방에 있습니다. 왜냐하면 어차피 국립묘지 못 가고 그러니까... 일단은 제 방에 영정사진하고 유골하고... 그냥 제 방에 있습니다.

◇ 김현정> 지금도요?

◆ 이재학> 네.

◇ 김현정> 아... 2월에 우리 딸, 신애가 죽었고 지금이 9월인데. 차마 그렇게 보내실 수가 없는 거군요.

◆ 이재학> 네... 제가 매일매일 일기를 씁니다. 제가 신애 엄마하고 눈을 마주치려고 안 해요. 마주치면 서로 아프니까, 가슴이...

◇ 김현정> 군인으로 그렇게 보낸 게 마음에 걸리기도 하시겠어요.

◆ 이재학> 그래서 제가 지나가다가 군인들을 보면 그냥 고개를 돌립니다. 여군 보면 또 고개 돌리고. TV에서 군인, 군복 입은 사람들 나오면 고개를 돌립니다. 이유는 없습니다. 그냥 본능적으로 자꾸 눈물이 나니까 제가 고개를 돌리죠. 그래서 제가 생각할 때, 신애는 그렇게 됐기 때문에 살아서 돌아올 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저는 이제 신애를 통해서 이런 일이 반복돼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른 여군을 생각해서라도 절대 이래서는 됩니다. 자식을 잃은 부모 입장에서 너무 가슴이 아파서요. 절대 다른 여군들은 이래서는 안 됩니다, 진짜... 각 시군구에 산부인과 없는 데가 수십 군데 됩니다. 한 4~50 군데 될 거예요.

◇ 김현정> 여기에 대해서 국가가 대책을 내놓지 않는다면 여성에게 군인 되지 말라는 얘기거나, 여자 군인에게 결혼하지 말라는 얘기거나, 또 아이를 낳지 말라는 얘기가 되는 거군요?

◆ 이재학> 네. 임신을 해서는 안 된다는..

◇ 김현정> 그걸 생각해서라도 지금 이렇게 싸우시는 거군요?

◆ 이재학> 그래서 제 자식의 순직 문제도 중요하고. 그다음에 국가에서 해야 될 부분이 분명히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왜냐하면 오지나 이런 데는 여군뿐만 아니라 여교사나 이런 공무원도 있을 것이고, 또 지역주민들도 있을 것이고요. 그 전에는 몰랐는데 이번 일을 통해서, 또 그런 부분에 있어서 안타까운 게 지금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 김현정> 아버님, 지금 아기는 몇 개월인가요? 손녀입니까, 손자입니까?

◆ 이재학> 이름이 성우, 외손자입니다. 원래 예정일이 5월 4일입니다. 5월 4일을 기준으로 하면 100일 지났는데, 2월 2일에 태어났던 거죠.

◇ 김현정> 지금 몇 kg 됐다고 하셨죠?

◆ 이재학> 6kg 됐습니다.

◇ 김현정> 잘 자랐네요. 키우느라고 얼마나 고생하셨어요?

◆ 이재학> 어휴, 감사합니다.

◇ 김현정> 지금 가장 안타까운 건 이제 엄마 없이 자라야 될 손자인데요. 생각하면 또 마음이 아프시겠어요.

◆ 이재학> 아기를 쳐다보면서, 그 아이 얼굴에 신애 얼굴이 그려지니까 또 참 그래요. 매일 보면서도...

◇ 김현정> 성우를 생각해서라도 힘을 내셔야 되고요. 우리나라 여군들, 그 권익을 생각해서라도 아버님이 힘내셔야 될 것 같습니다. 어려운 상황에서 인터뷰 응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이 인터뷰는 내일(9/13) 아침 8시 'CBS 김현정의 뉴스쇼'를 통해 들으실 수 있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

0

0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