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다들 나와서 피워요. 누가 일일이 걸고 넘어지겠어요?”
서울 중구의 한 금연아파트. 단지 내 쓰레기장을 청소하던 아파트 관리인에게 '정말 담배를 못 피우냐'고 묻자 손사래와 함께 돌아온 대답이다.
그가 손으로 가리킨 쓰레기장 한 구석에는 버려진 담배꽁초가 쌓여 있었다.
“아침 7~8시 출근 시간이면 놀이터며 벤치 밑에 꽁초가 수북하니 말만 금연아파트”라는 게 아파트 관리인들의 일관된 반응이었다.
밖에서 볼 때는 ‘청정 지역’임을 광고하듯, 입구마다 금연 아파트임을 알리는 안내문이 버젓이 붙어 있었다. 놀이터나 소공원에 흔히 비치된 재떨이도 찾아볼 수 없다.
그 사이 주민 한 명이 방금 산 듯한 담배 포장을 뜯어 한 개피를 입에 물고는 쏜살같이 단지 안으로 사라졌다.
◈ 흡연주민들, 실효성도 없는 제도에 '눈칫밥'만이 아파트 단지에 살고 있는 윤모(55) 씨는 “금연아파트로 지정된 뒤 눈치가 보이고 불편해졌다”고 털어놨다.
윤 씨는 "처음에는 건물내 흡연을 금지하는 아파트 규정이 생겼지만 잘 안 지켜졌다"며 "어느 날 갑자기 '주민들의 동의를 얻었다'며 금연 아파트가 됐다더라"고 설명했다.
담배를 피우면서 눈치를 보게 된다면 그나마 나은 곳이다. 아예 ‘무늬만’ 금연 아파트인 곳도 많아서다.
서울 송파구 한 금연 아파트 단지에서 만난 주민 신모(38) 씨는 “여기가 금연아파트였느냐”고 반문했다. “담배를 못 피우게 제재하는 경우를 한번도 못 봤다”는 것.
또 다른 주민 장모(58) 씨도 “앞집에 사는 남자는 여전히 계단에서 담배를 피운다”며 "솔직히 금연 아파트라 해도 집 앞에서 피우는 사람들한테 싫은 소리 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했다.
◈취지는 좋았지만…애초부터 제재 수단 없던 ‘캠페인’금연 아파트 지정 제도가 처음 시행된 건 6년 전인 지난 2007년. 지난해말 기준 서울 시내 금연 아파트는 약 430여 곳에 이른다.
하지만 청정함을 강조하는 '스펙'이나 '훈장' 역할 외에 실효성은 찾아보기 힘든 형편이다. 금연을 강제할 수 있는 규제 수단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아파트 단지는 국민건강증진법상 금연 구역이 아니므로, 사실상 주민 자율에 맡길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오히려 지정 과정에서 이웃간 갈등만 증폭되기도 한다. 아파트 주민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나는 청원서 한 번 본 적 없는데 금연 아파트가 됐다”는 하소연이 쉽게 발견된다.
금연아파트에 사는 신모 씨는 “입주민 50%의 동의로 단지 전체가 금연화되는 것은 반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나머지 절반의 권리를 무시했다는 것.
상황이 이런데도 제도를 처음 도입한 서울시 측은 “금연 아파트 사업은 어느 정도 궤도에 올랐다"며 "식당이나 PC방 금연 등 다른 현안에 집중하기 위해 올해부터 자치구에 관련 업무를 이양했다”고 밝혔다.
CBS노컷뉴스 김지수 기자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