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하이브 3분기 매출 7272억 자체 최고…영업이익-당기순이익 적자 전환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서울 용산구 하이브 사옥 앞에서 한 시민이 하이브 로고를 바라보고 있다. 황진환 기자서울 용산구 하이브 사옥 앞에서 한 시민이 하이브 로고를 바라보고 있다. 황진환 기자
엔터테인먼트 업계 시총 1위 기업 하이브가 역대 최고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하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전기 대비/전년 동기 대비 모두 적자 전환했다.

하이브는 10일 전자공시시스템에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잠정) 실적'을 공시했다. 이에 따르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7271억 8100만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7.8% 증가했다. 종전 분기 최고 매출이었떤 2024년 4분기 실적의 7264억 원도 뛰어넘었다.

올해 1분기와 2분기 매출 역시 각 분기 기준 최고치를 기록한 하이브는,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누적 매출 1조 9300억 원을 기록했다.

직접 참여형 매출은 4774억 원(66%)이었다.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솔로 투어,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와 엔하이픈(ENHYPEN)의 월드 투어 등에 힘입어 공연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3배 이상 커진 2450억 원에 달했다. 음반·음원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1898억 원이었는데, 하이브는 '아티스트 컴백이 적었다'라는 것을 이유로 들었다.

MD(기획 상품) 및 라이선싱(특허 사용 계약), 콘텐츠, 팬클럽 매출을 아우르는 간접 참여형 매출은 249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늘었다. MD 및 라이선싱 부문 매출이 168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아티스트 투어 활동에 따른 투어 MD와 응원봉, 지식재산권(IP) 기반 캐릭터 상품의 판매가 MD 매출 호조를 견인했다.

글로벌 슈퍼팬 플랫폼 위버스는 디지털 멤버십, 광고 등 신규 비즈니스 모델 도입에 따른 성과로, 3분기 누적 기준 흑자 전환을 달성했다. 위버스는 오는 18일 중국 최대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QQ뮤직'에 프라이빗 채팅 서비스 '위버스 DM'을 열 계획이다.

내년에는 △방탄소년단 활동 재개 △주요 아티스트 성장에 따른 이커머스 부문 매출 확대 △위버스 자체 디지털 사업 부문의 성장 등을 바탕으로 위버스 실적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하이브는 부연했다.

자체 최고 매출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 순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각각 421억 9800만 원, 520억 3300만 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하이브는 "글로벌 아티스트 IP 확대를 위한 선제적 투자와 북미 사업 구조 개편에 따른 일회성 비용 지출로 인해 총 12%포인트 수준의 영업이익률 하락 요인이 발생했다"라고 진단했다.

빅히트 뮤직의 신인 보이그룹(CORTIS), 현지 오디션으로 뽑힌 남미 보이그룹 산토스 브라보스(SANTOS BRAVOS), 하이브 라틴 아메리사 산하 레이블 시엔토 레코즈(S1ENTO Records) 소속 밴드 무사(MUSZA) 등의 데뷔를 예로 들었다.

대형 프로젝트들에 따른 마케팅 및 콘텐츠 제작비 등 초기 투자 집행으로 이번 분기 영업이익률이 약 6%포인트 하락했다고 하이브는 바라봤다. 이경준 하이브 CFO는 "다수의 팀이 데뷔하면서 단기적으로는 수익성이 저하됐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팬덤 확장과 수익 기반 안정화를 통해 하이브의 성장 구조가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미 사업 구조 개편에 따른 일회성 비용 지출도 영업이익률에 약 6%포인트 수준의 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하이브는 "북미 시장 내 사업의 수익성과 운영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매니지먼트 중심에서 레이블 중심의 IP 통합 비즈니스 체계로 전환 중"이라며 "내년부터는 구조 개편 효과와 함께 방탄소년단 활동 재개로 인한 북미 사업 손익 구조가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전했다.

이재상 하이브 대표는 "하이브의 핵심인 K팝 부문은 올해에도 10~15%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회사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건하다. 수익성 부담 요인들이 올해 4분기를 기점으로 대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내년부터는 수익 구조 개선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내년부터는 방탄소년단 활동 재개 및 K팝 아티스트 성장 가속화와 멀티 홈·멀티 장르 전략의 성과 확대, 위버스의 안정적 흑자 유지 등을 핵심 축으로 본격적인 수익성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