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韓기업 총수들, 트럼프와 골프회동 마쳐…'관세협상 촉매제' 될까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트럼프 '홈 그라운드'에서 전례 없는 골프회동
삼성·SK·현대차·LG·한화그룹 총수들 총출동
트럼프, 7시간 30분 넘게 머물러…관세·투자 대화 여부 주목

연합뉴스연합뉴스
한국의 대표 기업 총수들을 비롯한 일본, 대만의 주요 기업인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18일(현지시간) 미국 현지에서 7시간 넘게 골프 회동을 했다. 국내 기업 총수들과 미국 대통령의 골프 라운딩은 처음 있는 일이다.
 
한미 정부의 관세 후속 협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한국 기업인들도 측면 지원에 나선 모양새로, 장시간에 걸친 이번 회동에서 미국의 고율 관세와 대미 투자와 관련해 어떤 의견이 오갔을지 주목된다.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이례적인 이번 골프 회동은 한국과 일본, 대만의 기업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트럼프 인터내셔널 골프클럽에서 진행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마러라고 별장에서 출발해 이날 오전 9시15분쯤 골프장에 도착했다.
 
한국에서는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과 SK그룹 최태원 회장,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 LG그룹 구광모 회장, 한화그룹 김동관 부회장 등이 참석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미 관세 협상 국면과 맞물려 반도체와 자동차, 조선 등 다분야에 걸쳐 대미 투자를 확대 중인 주요 대기업 수장들이 총출동한 것이다.
 
한국 기업 총수들이 한 데 모여 미국 대통령과 골프 회동을 갖는 건 이번이 처음인 만큼, 통상 4인 1조로 진행되는 라운딩에서 누가 트럼프 대통령과 한 조를 이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렸지만, 백악관은 확인을 거부했다.

다만 오전부터 7시간 넘게 행사가 진행된 만큼 적어도 점심시간 또는 행사 전후로 현안인 관세와 대미 투자 관련 대화가 오갔을 가능성도 재계에서 거론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장 도착 후 7시간 35분 지난 오후 4시 50분쯤 골프장을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행사에는 미국 정부 관계자도 참석한 것으로 전해진 만큼, 한미 관세 후속 협상의 촉매제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지난 7월 자신이 소유한 스코틀랜드 턴베리 골프장에서 골프를 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지난 7월 자신이 소유한 스코틀랜드 턴베리 골프장에서 골프를 치고 있다. 연합뉴스 
회동을 주선한 손정의 회장은 이번에 다수 기업들이 참여하는 투자 유치 행사도 병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매머드급 AI(인공지능)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를 이끌고 있는 손 회장은 지난 2016년 트럼프 대통령이 첫 당선됐을 때도 마러라고를 방문해 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트럼프 회장과 친분을 쌓았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손 회장을 '해결사'(go-to guy)로 여길 정도로 양측의 신뢰 관계가 탄탄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편 골프 회동과 시기가 맞물려 집중적으로 이뤄진 한미 관세 후속 협의에는 속도가 붙는 기류다.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은 미국 워싱턴 DC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등을 만난 뒤 한국시간으로 19일 귀국하면서 방미 결과와 관련해 "대부분의 쟁점에서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여전히 조율이 필요한 부분이 남아있다"면서도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타결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방미 전보다는 APEC을 계기로 타결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답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