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제1차 동계올림픽종목협의체 회의 뒤 기념 촬영한 모습. 대한체육회 내년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종목 단체 회의가 열렸다.
대한체육회(회장 유승민)는 1일(수) 오후 4시 서울 올림픽파크텔 3층 체육회 회의실에서 '제1차 동계올림픽종목협의체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동계올림픽종목협의체(이하 협의체) 출범 이후 처음 열린 공식 회의다.
유승민 체육회장을 비롯해 이수경 협의체장(대한빙상경기연맹 회장)과 루지, 봅슬레이·스켈레톤, 아이스하키, 컬링, 산악 등 동계 종목 단체장들이 참석했다. 동계 종목 운영상 개선 사항과 2026 밀라노-코르티나동계올림픽 대비, 국군체육부대 동계 종목 팀 창단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회의의 핵심 안건은 국군체육부대 동계 종목 팀 창단이었다. 과거 동계 종목 국군체육부대는 국방부와 문화체육관광부 간의 협약에 따라 2012년부터 2019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돼 선수들의 군 복무와 훈련 병행을 지원해왔다.
그러나 2018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해체되면서 현재는 바이애슬론팀만 제한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른 동계 종목 선수들이 7년 동안 체계적인 군 복무 지원을 받지 못해 훈련 공백과 선수 생활 단절을 겪어왔다는 점이 문제로 제기됐다.
특히 하계 종목 선수들이 안정적인 군 복무와 훈련을 병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 형평성 논란을 빚었다. 협의체 참석자들은 이러한 불균형이 장기적으로 동계 스포츠의 선수층 약화와 국가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데 공감했다.
이에 따라 협의체는 동계 종목 선수들의 군 복무 안정성을 확보하고 선수 생활 단절을 예방하는 한편 안정적인 훈련 환경을 마련해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 유관 부처에 국군체육부대 동계 종목 팀 창단을 공식적으로 검토하고 단계적 추진 방안을 마련할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가 전담 협의체를 구성해 제도 마련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주요 종목을 중심으로 시범 운영을 시작한 뒤 성과를 토대로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유승민 회장은 "동계 종목 선수들이 안정적으로 군 복무와 훈련을 병행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은 국가 경기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제"라면서 "대한체육회가 주도적으로 관련 부처와 긴밀하게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수경 협의체장도 "이번 협의체에서 논의된 국군체육부대 동계 종목 팀 창단이 제도화되기를 바란다"면서 "동계 종목 선수들의 경력이 단절되거나 기량을 잃는 일 없이 대한민국 동계 스포츠가 안정적 기반 위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