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사장님" "반장님"…외국인노동자 위한 조금 특별한 한국어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경기 양주 서정대 특수목적한국어연구소 찾아
외국인노동자 위한 전문 한국어 교재·교육 개발
'안전모·안전벨트' 등 현장 용어부터 가르쳐
끼임·추락 등 안전사고 예방 교육까지
외국인노동자 올해 2분기 27만 5천명
"일터 안전 위해 언어 장벽부터 낮춰야"

지난달 30일 서정대학교 특수목적한국어연구소 사무실에서 캄보디아에서 온 툰레아씨(왼쪽)와 손혜진 소장(오른쪽)이 이야기하고 있다. 김수정 기자지난달 30일 서정대학교 특수목적한국어연구소 사무실에서 캄보디아에서 온 툰레아씨(왼쪽)와 손혜진 소장(오른쪽)이 이야기하고 있다. 김수정 기자
"기계 작동법을 다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위험하면 빨강 스탑(STOP) 버튼을 눌러야 한다는 생각을 계속하면서 일했던 기억이 나요."

캄보디아에서 온 툰레아(27)씨는 2018년 스무 살의 나이로 한국 땅을 처음 밟았다. 돈을 벌기 위해 자동차 부품 공장에서 일을 시작했다. 일도 사람도 낯선 일터에서 그의 어깨를 더 움츠러들게 한 것은 바로 '언어'였다. 캄보디아어로 만든 작업 설명서를 읽었지만, 현장에서 실제 쓰는 말은 하나같이 생소했기 때문이다.

'연필'·'책상' 아닌 '안전모'·'안전벨트' 부터

교재 <장영실 기초 한국어>에 나오는 안전 관련 용어들. 김수정 기자교재 <장영실 기초 한국어>에 나오는 안전 관련 용어들. 김수정 기자
경기 양주 서정대학교가 지난 2023년 9월 설립한 '특수목적한국어연구소'는 노동 언어 장벽에 어려움을 겪는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조금 특별한' 한국어 교재와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있다.

연구소에서 만든 <장영실 기초 한국어> 교재는 첫 단원부터 '사장님' '반장님'으로 시작한다. 실제 작업 현장에서 외국인 노동자가 가장 많이 부르는 호칭부터 가르치는 것이다. '안전모' '안전화' '안전벨트' '목장갑' 등 단어도 처음부터 익힌다. 노동 현장에서 연필이나 책상보다 훨씬 더 피부에 와닿는 단어들이다.

지난달 30일 연구소에서 만난 레아씨는 "이런 말들을 처음 일을 시작할 때 배웠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자동차 공장에서 작은 부품을 기계에 넣어 검사하는 일을 주로 했다. 멈춤 버튼을 누르지 않고 손을 집어넣으면 끼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컸다. 실제 레아씨 남편은 조선소에서 일하다 다쳐 반도체 공장으로 이직했다.

이런 현장 용어는 한국인에게조차 낯선 말투성이다. 일례로 레아씨의 주 업무였던 '사상작업'은 금속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고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정품'이나 '불량' 등 단어도 외국인이 선뜻 이해하기 힘든 우리말이다.

<도장한국어> 교재에서 배우는 안전사고 유형. 김수정 기자<도장한국어> 교재에서 배우는 안전사고 유형. 김수정 기자
연구소는 일터에서 벌어질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내용을 담은 교재도 만들었다. <도장한국어> <용접한국어> 책에는 '산업안전편' 목차가 나온다. 추락이나 화재, 폭발, 깔림, 끼임, 충돌, 낙하 등 산업 현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종류의 사고를 한국어로 어떻게 표현하고, 또 어떻게 예방하는지 그림과 함께 배우는 순서다.

언어 장벽은 곧 안전 장벽…맞춤 교육 필요

외국인 노동자 상당수는 단순 업무를 하는 E-9(비전문 취업) 비자를 받아 한국에 온다. 한국어시험(EPS-TOPIK)을 통과해야 하지만 시험용 한국어와 실전용 한국어 괴리는 크다. 막상 현장에 투입된 외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다.

외국인 노동자 숫자는 늘고, 그에 따른 안전사고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통계를 보면 국내 제조업·건설업·농축산업·서비스업 외국인 노동자는 올해 2분기 기준 약 27만5천명에 달한다. 3년 전(16만3천 명)보다 60%가량 급증했다.

이민정책연구원이 지난 7월 발간한 '외국인 근로자 업무상 재해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매년 100명 이상의 외국인 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숨을 거뒀다. 산재 승인을 받은 사고 8434건 중 약 80%(3360건)가 건설업과 광·제조업에서 발생했다.

지난달 30일 오후 서정대학교 사회복지실습 수업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나와 발표하고 있다. 김수정 기자지난달 30일 오후 서정대학교 사회복지실습 수업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나와 발표하고 있다. 김수정 기자
전문가들은 일터의 안전을 확보하려면 언어장벽을 낮추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현장에서 실제 쓰는 안전 용어를 제대로 배우고 이해해야 사고 위험도 줄어든다는 얘기다.

서정대 특수목적한국어연구소 손혜진 소장은 "일반 한국어 교재 속 주인공은 학교에 다니고 친구와 쇼핑을 하지만 외국인 노동자 일상은 전혀 다르다"라며 "이들에게 가장 일상적이고 중요한 공간은 작업 현장"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 세종학당재단은 지난해 3월 단기 체류하는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상대로 농·어업에서 필요한 쉬운 한국어 교재를 개발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립국어원, 법무부와 함께 맞춤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고 있다.

이렇듯 정부와 공공기관이 관련 정책을 추진하지만 현실에 닿기에는 역부족이다. 손 소장은 "법무부에서 운영하는 사회통합프로그램 수업이 있는데 강좌 수가 제한돼 경쟁률이 매우 높다"라며 "교육 등 정부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한국 생활 6년 차를 맞는 레아씨는 이제 한국어 교사를 꿈꾼다. 그는 "(외국인 노동자를 위해) 한국어를 가르치는 곳이 더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며 웃어 보였다. 일터라는 공간을 넘어 집을 구하고, 아플 때 병원을 찾아가는 것까지, 한국어가 이들에게 생존의 언어이기 때문이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