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전 외교부 장관. 윤창원 기자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과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순직해병 특검이 박진 전 외교부 장관을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의 조사도 이뤄진다. 윤석열 정권 당시 외교·법무부 고위 당국자들을 줄소환하며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 주호주대사 임명 관련 각종 의혹을 정조준하는 모습이다.
정민영 특검보는 22일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오는 23일 오전 10시 박진 전 장관을 이종섭 전 장관 도피 의혹 관련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팀은 이 전 장관이 호주대사로 임명된 것은 지난해 3월이지만 이에 대한 인사검증 등은 2023년 12월쯤부터 이뤄졌다고 보고 있다. 당시 대통령실 지시와 외교부 조치 사항 등이 박 전 장관 조사의 핵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검팀은 이날 오후에는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 이 전 비서관은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부터 사임이 이뤄졌을 당시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으로 근무했다.
공직기강비서관은 인사 검증 과정에서 외교부가 당사자로부터 제출받은 인사 검증 자료를 건네받아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에 보내는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날 오후 1시쯤 특검에 출석한 이 전 비서관은 '이 전 장관을 호주대사로 지명하는 것에 이상함을 느끼지 못했는지', '인사검증 당시 윗선에서 지시받은 내용' 등에 대한 질문에 "특검에서 잘 진술하도록 하겠다"고만 답했다.
아울러 특검팀은 23일과 24일 오전에는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을 각각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 이들은 채상병 사망사건 관련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였던 이 전 장관의 해외 도피를 도운 혐의(범인도피·직권남용)로 고발됐다.
특검팀은 지난 17일 당사자인 이 전 장관을 도피성 호주대사 임명 의혹으로 참고인 조사한 데 이어, 23일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첫 피의자 조사를 할 예정이다.
같은 시간 직권남용 및 모해위증 등 혐의를 받는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도 6번째 피의자 조사가 예정돼 있다.
이밖에 특검팀은 국가인권위원회의 긴급구제 신청 및 진정 기각 사건과 관련해 직권남용 혐의를 받는 김용원 인권위 상임위원 겸 군인권보호관(차관급)이 사용했던 PC 하드디스크를 제출하라고 요청했으며 이날 수령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은 특검이 출발하기 2개월 전인 지난 5월 2일 '메인보드 불량'을 이유로 자신의 PC를 교체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PC 하드디스크 수령 이후에 김 위원의 소환 일정을 조율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수사 기간 추가 연장과 관련해 특검팀은 어떤 방식으로든 필요하다는 방침을 나타냈다. 수사 기간 1차 연장을 한 특검의 현재 수사기간은 오는 29일까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