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 의원실 제공의료대란의 여파로 지난해 상급종합병원들이 1조 원이 넘는 의료이익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환자가 330만명 이상 줄며 국립대병원과 '빅5' 병원을 중심으로 큰 타격이 이어졌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2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상급종합병원 47곳의 회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4년 의료이익이 -1조 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 -310억 원 수준에서 불과 1년 만에 적자 폭이 30배 이상 커진 수치다.
의료이익은 병원의 진료행위에서 발생한 순이익으로, 의료수익(입원수익, 외래수익 등 진료로 벌어들인 수입)에서 의료비용(인건비, 약제비, 진료 관련 경비 등)을 뺀 금액을 의미한다.
같은 기간 의료수익은 약 27조2340억 원에서 25조610억 원으로 2조 원 이상 감소했으며, 이 가운데 입원수익이 1조8천억 원 가까이 줄며 가장 큰 폭의 하락을 보였다.
입원환자는 334만명 줄어 전체적으로 23.4% 감소했다. 충북대병원(-36.8%)을 비롯해 서울대병원(-32.8%), 연세 세브란스병원(-32.6%), 서울아산병원(-32.6%) 등 국립대병원과 빅5 병원이 상위권에 포함됐다.
진료과목별로는 재활의학과 환자가 절반 이상(-53.7%) 줄며 감소율이 가장 컸다. 정신과(-46.6%), 정형외과(-44.5%) 등도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고, 내과는 127만명(-22.1%)이 줄어 절대 규모로는 가장 큰 감소를 기록했다.
김윤 의원은 "의료전달체계의 중추 역할을 하는 국립대병원과 빅5 병원, 그리고 내과·외과 등 필수 진료과가 직격탄을 맞으면서 의료체계 전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