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한국 사실주의 문학 거장 염상섭 육필 원고 등 280점 문학관 품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육필 원고·스스로 교정한 스크랩 자료 등 창작 현장 담겨

1954년 무렵 염상섭의 사진. 유족 제공1954년 무렵 염상섭의 사진. 유족 제공
한국 근대소설의 대표 작가 염상섭(1897~1963)의 육필 원고와 구상 메모 등 귀중한 자료 280여 점이 국립한국문학관에 기증됐다.

3일 국립한국문학관에 따르면 이번에 기증된 자료는 지난 3월 유족으로부터 입수된 뒤 정리와 수증심의위원회를 거쳐 지난달 14일 기증이 확정됐다.

자료는 ▲육필 원고와 구상 메모 25점 ▲작품 발표 지면을 직접 스크랩한 자료 223점 ▲이력서·출판계약서 등 작가 활동 기록 30여 점으로 구성됐다. 이 가운데 시인 김억과 동화작가 마해송이 염상섭에게 보낸 편지, 서예가 배길기가 쓴 묘비명, 언론인 유광열이 남긴 조서도 포함돼 있어 당대 문단과의 교류를 보여준다.

유족이 국립한국문학관에 기증한 소설가 염상섭의 육필 원고. 국립한국문학관 제공유족이 국립한국문학관에 기증한 소설가 염상섭의 육필 원고. 국립한국문학관 제공
문학관은 "한국 사실주의 문학을 완성한 염상섭의 집필 현장을 생생히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라며 "종잇조각 하나까지 남기던 꼼꼼한 습성과, 해방 이후 여러 직업을 전전하면서도 집필을 놓지 않았던 집요한 작가 정신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대한제국이 선포되던 해에 태어난 염상섭은 일본 유학 후 귀국해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며 문학동인 '폐허'에 참여했다. 3·1운동을 배경으로 한 '만세전', 식민지 조선의 민족 현실을 그린 '삼대', 한국전쟁을 다룬 '취우' 등 한국 근대문학사의 중요한 작품을 남겼다.

문정희 국립한국문학관장은 "매끈한 책의 표지로는 알 수 없는 문학의 이면을 보존하고 발굴해 알리는 것이 문학관의 몫"이라며 유족의 뜻에 감사를 전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