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경포환경참여연대 등 정화분수범추진운동본부는 19일 오후 1시 30분 경포호 인근 주차장에서 '경포호 정화분수 조기 착공'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전영래 기자강원 강릉시가 추진하고 있는 경포호 인공분수 설치사업과 관련해 찬성과 반대 측 집회가 동시에 개최되는 등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강릉경포환경참여연대 등 정화분수범추진운동본부는 19일 오후 1시 30분 경포호 인근 주차장에서 '경포호 정화분수 조기 착공'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경포호수는 오랜 세월 속에 노출되온 석호로, 호수는 오염되고 수질은 4~5등급이며 영양화지수는 50%의 부영양화 단계"라며 "이제 호수이기 보다는 바다가 됐다. 수온상승, 산소부족으로 호수 내 수생식물은 모두 죽은 반면 굴, 홍합 등 어패류가 생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매년 하절기에는 파래와 염주말이 기승을 부리고, 시간이 지나면 부패해 악취를 풍긴다"며 "분수가 조성되면 관광인프라가 구축돼 주민의 생존권 보장과 함께 관광객들이 지역경제를 살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어떤 정당이든 단체든 주민의 생존권을 박탈하려거든 해산하고 강릉을 떠나야 한다"며 "어떤 반대에 부딪히더라도 반드시 성사시켜 깨끗한 호수를 보고 싶다"고 강조했다.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인공분수 설치를 반대하는 시민모임 등은 19일 기자회견을 열고 "경포호를 비롯한 동해안 석호의 난개발 방지와 보전운동을 국민운동차원으로 승화시켜 전국의 시민사회와 연대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전영래 기자반면 이날 같은 시각 경포호수 광장에서는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인공분수 설치를 반대하는 시민모임 등이 기자회견을 열고 "경포호를 비롯한 동해안 석호의 난개발 방지와 보전운동을 국민운동차원으로 승화시켜 전국의 시민사회와 연대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들은 "비공개 졸속으로 진행한 환경영향평가 협의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공정하고 객관적인 검증을 받아야 한다"며 "강원도와 국가유산청은 인공분수 사업승인을 불허하고, 정부는 동해안 석호 난개발 방지 및 보전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집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인공분수 설치가 예상되는 위치 400m 구간에서 깃발과 현수막을 들고 '경포호를 그대로'라는 내용의 인간 띠를 만드는 퍼포먼스도 진행했다.
한편 강릉시는 경포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개선사업의 하나로 사업비 250억 원을 들여 길이 400m, 최고 높이 150m의 수중 폭기시설인 인공분수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7월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자연유산 위원회 현상변경 심의를 거쳐 조건부 허가를 받았으며, 현재 강원도 도립공원위원회의 심의 절차 등을 남겨두고 있다.
하지만 시민·환경단체 등 일각에서는 자연 석호로서의 가치 상실과 생태계 파괴 등을 이유로 사업 추진을 반대하면서 지역에서는 찬반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경포호 인공분수 조감도. 강릉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