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지하 붕괴. 연합뉴스1명이 실종되고 1명이 고립된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현장에선 사고 발생 약 17시간 전부터 이상징후가 나타났던 것으로 파악됐다.
11일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전날 오후 10시쯤 신안산선 제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기둥에서 쇳소리와 함께 균열이 다수 발견됐다. 이 기둥은 아치(arch) 구조로 공사중인 지하터널의 무게를 버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붕괴 위험이 있다고 판단한 야간근무 소장은 작업자 17명을 모두 대피시키고 광명시에도 관련 사실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광명시 역시 내용을 경찰에 알렸다.
이후 경찰은 광명 양지사거리~안양 호현삼거리까지 인근 도로 1km를 통제했다. 광명시 역시 이같은 내용을 안전안내문자로 전파했다.
오전 4시쯤에는 시공사 측과 건설 관련 교수가 지하 24m까지 함께 내려가 보강공사 방법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날이 밝은 뒤인 오전 7시쯤부터는 본격적인 보강공사가 시작됐다. 작업자 18명(하부 12명, 상부 6명)이 균열이 생긴 부분에 H빔을 용접하는 방식으로 보강 작업을 진행했다.
하지만 보강공사가 한창이던 오후 3시 15분쯤 소음과 먼지와 함께 지하터널 현장이 붕괴됐다. 하부 작업자 12명은 이상징후를 감지하고 대피했으나, 상부 작업자 중 2명이 지하로 떨어졌다. 전날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 17시간여 만이다.
구조작업. 연합뉴스2명 중 1명은 굴착기 기사 A씨이며, 다른 1명은 시공사 직원 B씨로 파악됐다. 고립된 A씨는 휴대전화로 연락이 닿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종된 B씨의 생존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소방당국은 A씨의 목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운 곳에 접근했으며, 크레인을 동원해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붕괴 이후 소방당국과 광명시는 2차 피해를 막고자 인근 600여세대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민 2300여명을 체육관 등으로 대피시킨 상태다. 또 인근의 전기와 도시가스도 차단했다.
한편 2023년 감사원은 이번 사고 현장이 포함된 공사 구간에 대해 "지반이 매우 불량하다"고 평가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감사원이 공개한 보고서에는 "신안산선 제5공구(시흥시청~광명)의 경우 터널 시점으로부터 약 19km떨어진 구간에 암반이 부스러지는 등 일부 단층파쇄대가 존재해 지반 상태가 '매우 불량' 상태인 5등급인데도 터널 설계에 인버트 설치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