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쟁점 판례 '서울 이전은 관습헌법?'…"요즘의 자유는 왜 시장 자유인가"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신간]
판례로 보는 한국 사회 쟁점 20
인권을 말해야 할 때

스핑크스 제공스핑크스 제공법학자인 저자는 한국 사회의 논쟁 사안을 심판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판례 20가지를 소개하고 사건의 배경과 사법부의 판단을 해설한다.

12·12 군사 쿠데타를 일으킨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을 반란과 내란 죄 등으로 처벌하도록 한 1997년 4월 17일 대법원 판결에서는 '성공한 쿠데타도 처벌할 수 있는지'가 쟁점이 됐다.

수도 서울의 세종시 이전 문제를 다룬 2004년 10월 21일 헌법재판소 판결에서는 '수도가 서울이라는 것이 관습헌법인지'를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열거된 판례들을 살펴보면 우리 사회에서 논쟁적이었던 사안들은 대부분 사법 판단을 받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판결 후에도 일부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사법적 판단과 국민적 의견 토론과 타협 절차 사이에서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한다.

저자는 "긍정적으로 보면 사회적 논쟁이 결국 법에 따라 해결된다는 점에서 법치주의의 실현으로 볼 수도 있지만, 부정적으로 보면 사회적 사안이 시민사회의 자율적 토론과 타협을 통해 해결되지 못하고 사법부를 통해 강제적으로 해결된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의 분열상을 반영한다고 볼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이광원 지음 | 스핑크스 | 240쪽

철수와영희 제공 철수와영희 제공 '인권을 말해야 할 때'는 인권의 개념, 일상에서 발견한 인권, 인권과 평화, 인권과 정치사상, 인권의 역사, 웅거의 인권론 등 여섯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여섯 분의 인권 전문가가 인권에 대해 체계적으로 쉽게 알려준다.

'인권연대'가 2023년 8월 '기초부터 심화까지 제대로 공부하는 인권'이란 이름으로 진행한 강좌의 주요 강의 내용과 질의응답을 엮은 책이다.

"인권은 불쌍한 사람이든 잘난 사람이든 상관없이 누구나 누리는 보편적 권리이다."

소수자와 약자에 관심이 많은 전진성 교수는 인권을 쓸모 있게 만들고 인권에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서는 인권의 개념을 확장해야 한다고 말한다.

"누군가의 인권을 보장하면 다른 사람의 인권이 침해받는다는 인식의 배경에는 인권에 관한 오해가 깔려 있다."

인권연대 오창익 사무국장은 인류의 역사 자체가 인권의 역사일 수 있고, 측은지심이 인권의 기본이라고 말한다.

"요즘 자유 개념은 고전적인 자유의 가치보다 소위 말하는 신자유주의 질서를 합리화하는 쪽으로 사용됩니다. 실제로 시장과 기업의 자유만을 강조한다."

박홍규 교수는 진정한 자유의 의미를 설명해준다. 대통령부터 자유를 거듭 강조하고 있지만, 역설적으로 언론의 자유조차 뒷걸음질 치는 현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알려준다.

소년부터 성인까지 인권에 대한 주요 개념과 사상, 역사를 설명하고 우리 사회의 인권에 대한 인식과 현실을 들여다본다.  

전진성·오창익·김종대 외 지음 | 철수와영희 | 224쪽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전체 댓글 4

새로고침
  • NAVER반계다석2021-01-21 19:25:44신고

    추천2비추천0

    말장난하는거 너무싫다
    비계획적 누출이라니?????마치 계획적인게 아니니 잘못이 없다는건가 비계획적 누출이란건
    곧 사고다사고!!! 삼중수소 기준치 이상이라는것은
    절대 누출되어서는 안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란다
    (동국대 김익중교수 발언)

  • NAVER고스트2021-01-21 06:15:34신고

    추천1비추천0

    전기 없이 어떤 물건을 만들기는 사실상 불가능하죠.
    그렇다고, 그 전기를 아무렇게나 만들어도 되는건 아닙니다. 그런 시대는 저물어가고 있어요.
    유럽이나 미국에 물건을 팔려면 화석연료(석탄, 석유 등)나 원자력연료로 생산된 전기를 바탕으로 제조된 제품은 수출이 불가능해집니다. 벌써 시작되었죠 사실상.
    인프라를 지금부터 바꿔놓지 않으면 큰 낭패를 보게 될 것입니다.
    단순히, 안전하니 계속 사용하자? 그런 문제가 아니죠 지금.

  • NAVER추적자2021-01-20 22:35:35신고

    추천2비추천7

    좌빨신문의 개 소리.
    삼중수소가 무해하다는 게 아니잖아 기자놈아.
    왜 말을 왜곡해? 국민이 바보로 보이나?
    과거 60년대 무지랭이, 문맹들의 80% 이상이었던 시대를 살고 있나?
    빨갱이들은 세월을 잊고 사는 모양이구나.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