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단체 "비응급 환자는 피해 입어도 되나"…서울대병원 휴진 규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환자 불안이 정부 압박 도구?"
연합회, 의협 '대정부 요구안'에는 "현시점 재논의 동의 못해"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 홍승봉 위원장 동료에 기고
"10년 후 전체 의사 1%…한국 의료 망한다 볼 수 없어"

황진환 기자황진환 기자
서울의대 교수들이 17일부터 집단 휴진에 돌입한 가운데 한국환자단체연합회가 "환자의 불안과 피해를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로 쓴다"며 철회를 촉구했다. 홍승봉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 위원장은 동료 의사에게 보내는 기고를 통해 의사 단체의 집단 휴진을 비판했다.

연합회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가 목적 달성을 위해 무기한 전체 휴진이라는 선택을 꼭 했어야 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며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가 환자의 불안과 피해라면 정당화될 수 없다"고 밝혔다.

연합회에는 한국백혈병환우회, 한국GIST환우회, 한국신장암환우회, 암시민연대, 한국선천성심장병환우회, 한국건선협회, 한국1형당뇨병환우회, 한국신경내분비종양환우회, 한국PROS환자단체 등이 속해 있다.

이들은 "전공의 9천여명이 4개월 이상 의료 현장을 이탈한 상황에서 의대 교수마저 무기한 전체 휴진에 돌입하면 의료공백으로 인한 환자 불안과 피해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서울의대 비대위는 집단 휴진에 대한 우려에 대해 지난 10일 "외래 진료와 수술을 중단할 뿐"이라며 "응급실과 중환자실, 입원실, 그리고 치료를 미룰 수 없는 진료 등의 필수 기능에 인력을 보충해 투입할 터이니 환자분들께 피해가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회는 이에 대해 비응급 환자는 불안과 피해를 겪어도 된다는 뜻이냐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들은 "비대위는 응급환자·중증환자가 피해 보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서울의대 소속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비응급이나 중등도(중증과 경증의 중간) 환자는 불안과 피해를 겪어도 된다는 의미인가"라고 반문했다.

황진환 기자황진환 기자
오는 18일 '전국 집단 휴진'을 계획한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전날 정부에 '의대 증원 재논의'를 포함한 요구안을 제시한 것에 대해서도 "원점 재논의 요구는 '증원 원천 반대'를 의미하는 것과 다름없다. 현시점에서 의대 증원을 원점에서 재논의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의협과 서울의대 비대위의 집단휴진 및 무기한 전체 휴진 강행 방침을 규탄하고 당장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며 "환자는 의대정원 숫자,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취소,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추진과 관련해 아무 잘못도 없다"고 호소했다.

한편 대학병원 뇌전증 전문 교수들로 구성된 단체인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의 홍승봉 위원장은 전날 동료 의사들에게 보내는 기고를 통해 의사 단체의 집단 휴진을 비판하고 나섰다.

홍 위원장은 "10년 후에 1509명의 의사가 사회에 더 나온다면 전체 의사 15만명의 1%에 해당한다. 의사 수가 1% 늘어난다고 누가 죽거나 한국 의료가 망한다고 말할 수 있나"라며 "나의 사직, 휴직으로 환자가 죽는다면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정당화될 수 있을까"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하루에 젊은 중증 난치성 뇌전증 환자가 1~2명씩 사망하고 있다. 뇌전증 수술을 받으면 사망률이 3분의 1로 줄어들고, 10년 이상 장기 생존율이 50%에서 90%로 높아진다"며 "지금은 전공의 사직으로 유발된 마취 인력 부족으로 예정됐던 뇌전증 수술의 40%도 못하고 있다. 전국에서 뇌전증 수술을 할 수 있는 병원은 단 7곳뿐인데 대부분 수술이 취소되거나 무기한 연기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가와 의사가 지켜줘야 할 중증 환자들이 생명을 잃거나 위태롭게 됐다. 원인이 누구에게 있든지 간에 이것이 말이 되는가"라며 "10년 후에 증가할 1%의 의사 수 때문에 지금 환자들을 죽게 내버려 둬도 된다는 말인가. 후배, 동료 의사들의 결정이지만 의사로서 국민으로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의사가 부족해서 환자가 죽는 것이지 의사가 너무 많다고 환자가 죽는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며 "10년 후에 활동할 의사 1509명이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현재 수십만명 중증 환자들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것은 의사가 아니라도 절대로 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