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군청 제공경남 합천 대평군물농악이 경상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29일 합천군에 따르면 지난 20일 제3회 경남도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에서 합천 대평군물농악이 종목 지정됐고 이날 도 지정 무형문화재로 지정 고시됐다. 이는 합천군 최초의 도 무형문화재 지정이다.
'합천 대평군물농악'은 합천군 초계면 대평마을에 전승되는 농악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청계산성(현 대암산)을 지키던 노경종 장군이 군의 위엄과 사기진작을 위해 진군 때 큰 북을, 철병 때 징을 쳐 대승을 거둔 것이 그 효시이다. 그 후 정월대보름에 성황당 고유제, 지신밟기를 통해 군물 놀이가 농악놀이로 이어져 400여 년의 역사 속에 합천의 뿌리 깊은 민속문화로 전해져 왔다.
'합천 대평군물농악'은 마을 공동체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하는 공동체 놀이라는 점에서 지역민의 정서를 담은 고유한 문화유산이다. 합천 대평군물농악의 판제는 길군악, 사열굿, 오방진굿, 사령 군악에서 12차 파진굿까지 군사놀이의 형태로 이뤄져 있으며, 복식은 일명 '까치복'이라고 하는 군사복을 하고 있다. 머리에는 전립을 쓰고 허리에는 큰 칼을 차고 있는 장군이 등장하는 등 군물적 요소로 이뤄져 있다.
합천 대평군물농악은 1983년 진해군항제에서 실시된 제15회 경남민속경연 대회에서 상쇠 김점용씨가 개인상을 받았으며 1982년과 1986년에는 진주 개천예술제에서 각각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수상했고 합천대야문화제 농악경연에서는 수차례 우승했다.
이후 대평군물농악이 쇠퇴의 길을 걷게 되자 지역의 명망 있는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재현 및 전승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합천군은 2014년 합천 대평군물농악보존회를 결성해 전수조사 및 구술 채록 활동을 시작했다.
합천군은 2015년부터 주민들을 대상으로 대평군물 전수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등 다양한 복원 계승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고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매년 시연회를 개최해 군민들에게 합천 대평군물농악을 알려왔다.
이와 관련해 합천 대평군물농악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기 까지는 그동안 합천 대평군물농악의 문화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 자료발굴과 시연을 통해 무형문화재로서의 체계를 갖추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사단법인 합천대평군물농악보존회의 공로를 빼놓을 수 없다고 합천군은 설명했다.
김윤철 합천군수는 "합천 대평군물농악의 도무형문화재 지정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지역의 훌륭한 문화유산을 계승·발전 시키고 문화전승을 위한 후계자 양성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