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공공기관 이전 '혁신도시'가 오히려 지역 소멸 가속?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KDI "2018년부터 수도권으로 인구 순유출, 주변 지역 인구 빨아들이며 부작용 발생"

혁신도시의 이동 지역별 및 이동 사유별 인구 이동. KDI 제공혁신도시의 이동 지역별 및 이동 사유별 인구 이동. KDI 제공
공공기관 이전을 통한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건설된 '혁신도시'가 오히려 지역 소멸을 가속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혁신도시가 공공기관 이전 효과에 따른 수도권 인구 유입을 통해 성장하기보다는 주택과 학교 건설 등 양적인 정주 여건 우위에 힘입어 주변 지역 인구를 빨아들이는 부작용에 따른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문윤상 연구위원의 21일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효과 및 정책방향' 발표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수도권에서 혁신도시로 인구 순유입이 두드러졌다.

공공기관의 혁신도시 이전은 2012년부터 시작됐으나 대부분 이전은 2014년과 2015년에 집중됐으며 수도권으로부터 인구 순유입은 2017년까지 지속했다.

하지만 공공기관 이전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간 2018년부터는 거꾸로 혁신도시에서 수도권으로 인구 순유출이 나타났다.

문윤상 연구위원은 "2018년 이후에는 혁신도시가 위치한 시·도 내 주변 지역으로부터 인구 유입이 증가하면서 부작용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직업'이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인구 이동의 주된 사유 가운데 하나였다.

공공기관이 혁신도시로 이전하면서 일자리를 따라 혁신도시로 유입된 수도권 인구도 늘어난 것이다.

황진환 기자황진환 기자
그러나 2017년부터는 직업 사유로 인한 인구 유입은 크게 줄었고 대신 혁신도시에 새로 건설된 양질의 주택과 학교 등이 주변 지역 인구를 빨아들이는 동력이 되고 있다.

공공기관 이전을 통한 수도권 집중 완화 효과는 단기간에 사그라들고, 지방에서는 혁신도시 집중이 심화하면서 그 주변 지역 쇠퇴를 가속하는 부작용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문윤상 연구위원은 "공공기관 지방이전 효과 지속을 위해서는 혁신도시에서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제조업과 금융업 등 '지식기반산업'의 고용 효과를 증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0

0

전체 댓글 16

새로고침
  • NAVERMolker2022-05-16 14:32:15신고

    추천1비추천0

    이 것은 명백하게 검찰이 자신에게 주어진 권한으로 정청래를 엿 먹이고 사이비 불교 신자들을 꼬드겨 지방 선거에서 민주당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기 위해 꼼수를 부리는 것이다.
    도리어 공수처는 검찰을 수사를 하여 두번 다시 이런 짓꺼리를 못하게 해야 한다.

  • NAVER배통2022-05-16 12:22:49신고

    추천5비추천0

    검찰의 갑질이 시작도는구먼 이러니까 검찰개혁이라는 소리가 나오지.....

  • KAKAO최경수2022-05-16 11:39:08신고

    추천8비추천0

    등산객에게 사찰에서 입장료를 징수하는 것은 불로 소득 '봉이 김선달'이라는 지적도 부족하다. '검수완박'으로 할 일이 없으면 그 시간에 법리 운용에 대한 외국의 선진 법치에 대해 공부나 하라.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