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왼쪽)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연합뉴스 외교부는 지난 11일 도쿄 올림픽 계기 한일정상회담 추진과 관련한 일본 측 행태를 작심 비판했다. 외교부는 "양국 외교당국간 협의 내용이 최근 일본 정부 당국자 등을 인용해 일본의 입장과 시각에서 일방적으로 언론에 유출되고 있는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는 양 정부간 협의가 지속되기 어려우며, 일본 측이 신중히 대응할 것을 촉구한다"고 경고했다.
문 대통령 방일 놓고 한일 신경전…日, '15분회담' 운운하며 은전 베풀 듯
정부가 이처럼 발끈하고 나선 것은 대체로 적당히 넘어갔던 과거의 모습에 비해 이례적이다. 일본측 '언론 플레이'가 그만큼 도를 넘어섰다는 방증이다. 일본 언론들은 이날 한국이 문재인 대통령의 방일을 타진했다고 전하며 조건과 형식을 제시했다.
강제징용·위안부 문제의 구체적 해결책을 갖고 오지 않으면 15분짜리 회담만 허용된다는 것이다. 오히려 아쉬워야 할 일본이 마치 은전이라도 베푸는 듯한 황당한 태도다.
정부가 외교 사안을 언론에 흘리는 것은 국가간 신뢰를 허무는 심각한 반칙이다. 그런데도 일본은 심지어 가짜뉴스까지 활용하는 언론 플레이를 서슴지 않아왔다.
이번 문 대통령의 방일 관련 공방은 일본 정부와 언론의 '협업' 시스템을 잘 보여준다. 요미우리 신문은 지난달 15일 문 대통령이 방일을 타진했다고 보도했지만 가토 가쓰노부 관방장관은 당일 즉각 부인했다. 그러나 교도통신은 며칠 뒤인 22일 비슷한 내용을 다시 보도했고 이달 6일에는 산케이 신문이 바통을 이어받았다.
최초 보도가 나온 뒤 인용보도가 계속 이어지며 기정사실화하는 수법이 교묘하다. 뿌리깊은 日정부-언론 공조…MB 때는 "독도, 조금 기다려달라" 진실 호도
일본의 한국에 대한 언론 플레이는 뿌리가 깊고 언론사의 논조와도 무관한 편이다. 2019년 11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파동 때는 우리 정부의 '조건부 종료 유예 결정'을 일본 언론은 '퍼펙트 게임'에 가까운 일본의 외교 승리로 평가했다. 특히 아사히 신문은 "일본은 아무 것도 양보하지 않았다"는 게 당시 아베 신조 총리의 말이라고 인용보도했지만 청와대는 '소설' 수준이라고 일축했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5년 12월 일본군 위안부 합의 때도 이 신문은 주한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에 대한 이면합의가 있다고 보도했지만 결과적으로 오보였다. 이명박 정부 때인 2008년에는 당시 후쿠다 야스오 일본 총리가 일본 교과서에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기술하겠다고 하자 이 대통령이 "지금은 곤란하다. 조금만 기다려달라"고 했다고 요미우리 신문이 보도해 큰 파문을 일으켰다. 이는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당시 민주당 부대변인으로서 요미우리 허위 보도에 대한 대표 소송을 벌이기도 했던 사안이다.
아베 이후 보수화 흐름 속 언론통제 강화…'한국 때리기' 정언유착 공생
일본의 언론 플레이는 내부의 불만을 밖으로 돌리려는 정권과 쏠쏠한 기사거리를 찾는 언론의 공생관계에서 비롯된다. 코로나 확산과 무관중 올림픽 등으로 곤경에 처한 스가 요시히데 내각은 전임 아베 내각의 '한국 때리기'를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 마치 한국이 정상회담 개최에 매달리는 것처럼 선전함으로써 조금이라도 지지율을 만회해보려는 것이다. 스가 내각 지지율은 13일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독도 영유권을 주장한 방위백서가 이날 발표된 것은 결코 우연이라 할 수 없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그렇다 쳐도 객관성과 정확성을 생명으로 하는 언론이 '정언 유착'의 한 축이 되는 것은 선뜻 이해하기 힘들다. 한국 언론도 남 비판할 처지는 아니지만 적어도 외교 사안(북한 제외)에 관한 한 언론 플레이 사례는 찾기 어렵다.
이는 일본의 보수 우경화 흐름과 관련이 깊다.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는 "아베 정권 들어 NHK 회장에 측근이 임명되는 등 언론 통제가 강화됐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2010년 세계 11위에 달했던 일본의 언론자유지수는 올해 67위(한국은 42위)까지 내려앉았다. 호사카 교수는 "(이를 통해) 아베 정권에서 언론의 혐한 기류가 확대되고 '한국 때리기'에 관대해진 사회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정부, G7 약식회담 불발 이유 공개 맞불…"능동 대응으로 전환, 바람직"
일본의 언론 플레이는 한일관계 발전을 가로막고 왜곡하는 병폐나 다름없다. 우리 정부의 대응도 기존의 소극적 방어 전략과는 달라지고 있다. 지난달 G7회의 때 한일 정상의 약식회담을 일본이 일방 취소한 사실을 우리 당국자가 '발설'한 것이 대표적 예다. 박지원 국정원장이 지난 5월 방일 당시 스가 총리 면담 사실을 먼저 공개한 것도 '맞불' 성격의 언론 플레이로 볼 수 있다. 조진구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국력과 국격이 높아진 것에 걸맞는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측면에서 (일본에 대한 당당한 대응은) 당연하고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