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한·일, 환율전쟁의 예상치 못한 피해자 될 수 있어"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사진=연합뉴스)

 

미중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으로 확대되면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큰 국가로 우리나라와 일본이 지목됐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이 됐다"라는 사설에서 중국을 제외한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도 환율전쟁의 낙진이 떨어질 수 있다며 가장 먼저 한국을 거론했다.

신문은 이날 한국 원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무려 1.4% 떨어졌다고 지적하면서 "한국은 중국과 광범위하게 교역을 해, 통화 가치가 위안화를 따라가는 위안 블록 국가의 일부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국이 위안 블록일 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거대한 달러 채무를 안고 있는 달러 블록이라는 점도 미중 환율전쟁의 취약점으로 신문은 지적했다.

신문은 한국내 비금융 기업들의 달러 채무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16%인 2천550억달러, 금융기관들의 달러 채무가 GDP대비 19%인 3천50억 달러에 달할 뿐만 아니라 전체 외화표시 회사채의 86%가 달러 부채라는 점을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환율이 출렁이면 이들 채무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할 수 있으며, 한국 정부도 또한 현재 자본탈출에 대한 우려와 스스로 맞서 싸울 수밖에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반면 일본은 이와 정반대 의미에서 심각한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이날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고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자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엔화의 가치는 투자자들이 몰려 치솟았다.

신문은 세계 최대 채권국인 일본의 엔화 가치가 환율전쟁으로 상승하면, 엔화 표시 해외투자의 수익이 떨어져 가계와 기업이 손실을 보며 일본 경제도 악영향을 받는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WSJ는 환율 격변의 종착역이 어디인지 모른다며, 외환시장에서는 예상하지 못하는 피해자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고 강조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