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는 그래야 해"…'굴종 문화'로 변질된 간호사 소명의식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대가 없는 '간호사다움'의 굴레에 손발 묶인 인권

 

환자의 생명과 직결돼 엄격함을 요구하는 조직문화가 현장 곳곳에서 간호사의 인권과 노동권을 침해하는 논리로 악용되고 있다. '간호사다움'이 비단 환자를 대하는 업무 뿐 아니라 병원·재단 측과의 관계에까지 요구되면서 부당한 '굴종의 문화'를 자리 잡게 한 것이다.

◇ 엄격한 조직문화, 부당한 노동 요구와 대우로 변질

성심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A(44) 씨는 수년간 재단 체육대회 동원은 물론 수당도 없는 일상적인 초과 근무를 견뎌야 했다. 지칠 대로 지친 A 씨였지만 이의를 제기하기는 쉽지 않았다. '환자를 위한 것'이란 바탕 위에 세워진 엄격한 조직문화 탓이다.

A 씨는 "병원에서 하는 화상회의 등이 병원의 발전, 곧 환자를 위한 것이란 차원에서 지시가 내려오다 보니 간호사들은 이 모든 것들을 자연스러운 업무의 연장이라고 생각하게 됐다"며 "쓰러질 지경이 되기 전까진 '오늘은 아파서 못 하겠다'는 말도 못하겠더라"고 밝혔다.

비단 성심병원 같은 사립병원뿐만 아니다. 완고한 조직문화 속에 부당한 규정 밖 노동을 강요하는 분위기가 '어딜 가든 마찬가지'라는 것이 복수의 현직 간호사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간호사 이모(27) 씨는 지난해 10월 다니던 국립병원에 사직서를 냈다. 이 씨는 "주변에선 그 좋은 국립병원 왜 그만뒀냐고 하는데, 어차피 다 똑같다"며 부족한 인력과 상시적인 초과 근무, 심지어는 장기자랑 동원까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들이 국립병원에서도 매한가지라고 호소했다.

심지어는 병원 발전기금을 강요받기도 했다. 이 씨는 "이미 별도의 기부를 하고 있어 하고 싶지 않았지만 '네가 다니는 병원에 만 원이 아깝냐'는 수간호사의 한 마디에 결국 기부 아닌 기부를 해야 했다"고 말했다. 이 씨는 "이런 식의 일들을 겪으며 더 이상 한국에서 간호사 일을 하고 싶은 생각이 사라졌다"고 덧붙였다.

◇ '간호사니까' 소명의식 강요 아닌 자긍심 가질 환경이 필요

고유의 조직적 기합 문화를 일컫기도 하는 이같은 '태움(영혼까지 불태울 정도로 혼을 낸다)문화'는 간호사로서의 '소명의식'이 악용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간호사는 생명을 다루기 때문에 한 치의 실수도 용납이 안 된다(대한간호사협회 관계자)"는 엄격한 조직 문화가 간호사의 인권‧노동권의 이슈에까지 오남용 된다는 것이다.

6년차 간호사 B(27) 씨는 요즘도 급한 일인양 콜벨을 눌러 간호사를 찾고는 '리모콘을 가져오라'는 환자들의 요구를 듣고 있다. B 씨는 "병원에선 '간호사답게'란 말을 자주 한다"며 "간호사로서 소명의식을 갖고 일하는 건 맞지만 그게 전혀 상관이 없는 상황에서도 등장하곤 한다"고 토로했다.

소명의식에서 비화된 그릇된 굴종의 문화가 간호사들의 행동양식 전반에 요구되는 현실이다. B 씨는 "아무리 부당한 대우를 받아도 '환자 버린 간호사' 소리를 들을까 외부에 알리는 등 직접적인 행동을 하는 건 엄두도 내기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 박민숙 부위원장은 "환자를 치료하고 간호하기 때문에 규율이 엄격하고 긴장 상태이어야 하는 건 맞지만 그것이 인권유린이나 '갑질' 문화로 변질돼 문제"라며 "하루 두 세 시간 씩 공짜 노동이 이뤄지는 게 비일비재한 현실은 결국 간호사들에게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부위원장은 "완고한 조직문화를 강요하기만 할 게 아니라 자긍심을 갖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며 "그래야 간호사의 소명의식이 현실에서 환자들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로 표출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