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배고파 집에 왔다가…경찰에 잡혀 내란죄 1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제주4·3수형인]⑨김평국 "요즘 젊은이들 4.3공원 묘비 억울함 알았으면"

제주4·3(1947.3~1954.9)으로 제주도민 3만 여명이 죽고 민간인 2500여명이 군사재판을 받았다. 이들 수형인들은 고문 후유증으로 감옥에서 죽거나 살아남은 자는 육체적·정신적 후유장애와 함께 억울한 삶을 살아왔다. 현재 신고된 수형 생존자는 33명. 이 가운데 18명이 지난 4월 19일 제주지방법원에 ‘4·3수형희생자 불법 군사재판 재심’을 청구했다. CBS 노컷뉴스는 이들 18명의 기구한 삶을 소개한다. 기사는 수형 생존자들의 삶을 이해하기 쉽도록 일부는 1인칭으로, 나머지는 인터뷰 형식을 취했다. 당시 나이는 수형인명부를 따랐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양근방(84·당시 16살): 1949년 7월 5일, 징역 7년(인천)
2. 정기성(95·당시 27살): 1949년 7월 1일, 무기징역(마포)
3. 박내은(86·당시 21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 1년(전주)
4. 오영종(87·당시 20살): 1949년 7월 3일, 징역 15년(대구)
5. 조병태(88‧당시 18살): 1948년 12월 26일, 징역 1년(인천)
6. 부원휴(88‧당시 18살): 1948년 12월 15일, 징역 1년(인천)
7. 박동수(84‧당시 18살): 1949년 7월 5일, 징역 7년(인천)
8. 오희춘(84‧당시 18살): 1948년 12월 10일, 징역 1년(전주)
9. 김평국(87‧당시 18살): 1948년 12월 5일, 징역 1년(전주)
10. 현우룡(94‧당시 26살): 1949년 7월 2일, 징역 15년(대구)
11. 현창용(85‧당시 16살): 1948년 12월 9일, 징역 5년(인천)
12. 한신화(95·당시 27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 1년(전주)
13. 김경인(85‧당시 18살): 1949년 7월 7일, 징역 1년(전주)
14. 양일화(88‧당시 16살): 1948년 12월 27일, 징역 5년(인천)
15. 오계춘(92‧당시 25살): 1948년 12월 26일, 징역 1년(전주)
16. 임창의(96‧당시 27살): 1948년 12월 28일, 징역1년(전주)
17. 김순화(84‧당시 17살): 1949년 7월 7일, 징역 1년(전주)
18. 박순석(89‧당시 21살): 1949년 7월 7일, 징역 3년(전주)
19. 재심청구 변호인단
20. 제주 4‧3도민연대

김평국 할머니 (사진=문준영 기자)

 

18살 아라동 소녀가 제주 4·3에서 처음 목격한 죽음은 삼촌이다. 복면을 쓴 사람들이 삐라를 뿌리고 지나간 외양간에 삼촌은 총에 맞고 칼에 찔려 쓰러져 있었다. 그 이후부터 아라동에 빨갱이가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다음해) 내가 19살 때 소문이 극에 달했지, 아라동 빨갱이 소문이 더욱더 심해지자 아라동 사람들이 피난을 가기 시작했다. 그래서 어머니가 친할머니와 외할머니를 모시고 세딸과 함께 (제주시)남문통으로 이사를 갔지"

올해 90살이 된 김평국 할머니의 4·3 기억은 억울함이다.

"이제 커가는 사람들아! 억울하게 잡혀서 내가 그런 생활을 했는데 너무 억울해, 기자양반이 써서 남기는 글을 봐 달라. 4·3 공원에 가면 묘비들이 있는데 그 많은 사람들이 다 억울한 사람이야"

배가 고파 먹을 것을 찾아 아라동 집으로 갔다. 사이렌이 울려야 움직일 수 있었다. 사이렌이 울리면 다시 제주시로 내려올 생각이었다. 사이렌이 울리지 않았다. 대문간 방에 쭈그려 있는데 경찰이 들이 닥쳤다. 졸지에 빨갱이 마을이라고 소문난 곳에 숨어있는 꼴이 됐다.

2014년 6월 6일 김평국 할머니(왼쪽에서 두번째)가 제주4.3 전주형무소 수형 희생자를 위한 진혼제에 참석했다. (사진=문준영 기자)

 

제주시 관덕정 옆에 있는 경찰서로 어머니와 여동생(13살 14살) 2명과 함께 끌려갔다. 처음에는 마당에 앉혔다가 나중에 넓직한 창고로 몰아 넣었다. 날이 저물 즈음 동생 둘과 어머니는 보내줬다. 그녀는 다음날 유치장으로 끌려갔다. 젊은 처녀들이 콩나물시루처럼 빽빽하게 모여 있었다.

"엄청나게 맞았어. 손으로 따귀를 때리고 쇠좆매라고 소가죽을 다섯갈래로 길게 모아 묶은 걸로 막 때렸지. 형사들이 술먹고 와서 때리기도 했어. 너무 심하게 맞아서 그 사람 이름도 기억한다"

전기고문도 있었다. 여자애 이빨에 전기줄을 끼워서 돌렸다. 사람이 꼬불꼬불하게 탁 죽었다.

조사 내용은 똑 같았다. 아라동에 빨갱이가 살았느냐는 것이다. 모른다고 하면 맞았다. 여자라서 밖에 돌아다니지 않았다고 해도 맞았고, 남문통으로 피난가고 먹을 것 찾아서 집에 갔다가 잡혔다고 말해도 맞았다. 고문은 열흘 동안 계속됐다.

"갑자기 전부 마당으로 나가라고 해서 재판을 받았지. 거기 보니까 '고등군법 제77조 내란죄'라고 써 있었는데 70명~80명씩 재판을 했어. 각자 데려가서 무슨 죄를 지었냐고 물어보지도 않았다. 그냥 A,B,C로 나눴다. 당시에는 A,B,C를 몰랐는데 손주들 공부하는 거 보니까 이제야 A,B,C를 알게 됐지"

추미애 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999년 9월 15일 당시 정부기록보존소에서 발견한 4.3수형인 명부에 따르면 김평국 할머니의 군법회의 판결 날짜는 1948년 12월 5일로 기록돼 있다. (사진=4.3수형인 명부, 문준영 기자)

 

국가기록원에 기록된 4.3수형인 명부에 따르면 김평국 할머니의 군법회의 판결 날짜는 1948년 12월 5일로 기록돼 있다

재판이 끝나고 포승줄에 5명씩 묶여서 트럭에 실려 부두로 갔다. 배를 타고 내려보니 목포항이었다. 다시 기차를 타고 전주로 갔다. 신발도 없이 온 사람도 있었다. 전주형무소에 내려 죄수복을 입었다. 5명~6명이 같이 감방에 있었다.

"내 죄수번호는 381번. 한번은 밥을 먹는데 반찬으로 나온 새우젓에 벌레가 생겨서 벌레가 움직이니까 새우가 살아있는 것처럼 끄덕끄덕 거리더라, 벌레가 안에서 움직여서…그 이후로 지금까지 새우젓을 안 먹어"

징역 1년을 받은 소녀 김평국은 콘크리트 바닥에 담요 한 장으로 깔고 덮으며 겨울을 보냈다. 우표 살 돈이 없어 고향으로 편지도 못 보냈다. 7~8개월간 가족들에게 소식을 전하지 못했다.

"감옥에 있을 때 아버지네 친척 오빠가 진정서를 보냈어, 너무 억울하다고. 그렇게 10개월을 살고 나왔지, 19살 가을에 들어가서 20살 8월에 나왔어. 나올 때도 석방 종이에 도장하나 찍고 배타고 가라고 하더라. 징역 석방 종이를 받을 때 이쁘장 했던 내가…석방 종이로 배표를 내면서 막 울었다. 너무 기가 막히고 억울해서, 석방증을 보는데 내 자신이 너무 창피하고 억울해서…"

제주 부두에는 아버지네 친척들이 마중 나왔다. 모두 울고 또 울었다. 아무것도 모르는 애가 얼마 고생했냐고.

석방과 함께 집행유예 6개월을 받았다. 그래서 어른들이 돌아다니지 말라고 했다. 처음에는 징역 갔다 왔다고 손가락질 받았다. 창피했다.

"나중에 이모부가 죽은 사실을 알게 됐어, 입에 돌을 물고 죽었다고, 군경인지 산사람인지 모르겠지만, 입에 돌을 넣고 망치로 두들겨서 죽인거라고. 입에 돌을 계속 쑤셔 박아서 죽인거라고, 그렇게 잔인하게 죽었다고. 이모가 그 자리에 살고 싶지 않다고 이사를 갔지"

김평국 할머니 (사진=문준영 기자)

 

김평국 할머니는 전과자라는 것이 싫다. 손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을까 걱정이다. 아직도 연좌제가 두렵다.

"나는 언제 죽을지 모르지만 전과라는 단어 두 글자를 지우개로 지워버렸으면 좋겠어. 억울하게 잡혀서 그런 생활을 했는데 너무 억울해…억울함을 젊은 사람들이 알아주고 4.3이라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해서 공휴일로 지정해 줬으면 좋겠어, 나는 너무 억울하니까"

김평국 할머니는 세월이 약이라고 했다. 무상하고 억울한 세월을 기억하고 싶지 않은 듯 '서러워 말고 화장 해달라'고 딸에게 말했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5년 제주 4.3도민연대 전국순례 사업으로 인천형무소를 방문한 김평국 할머니 (사진=제주4.3도민연대)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