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랭킹 뉴스

고리 원전 1호기, 사용후핵연료 처리가 과제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2032년까지 해체 완료

 

NOCUTBIZ
고리 원전 1호기의 해체는 15년 이상 걸릴 전망이다. 6월 18일 정지 후 사용후핵연료 인출,냉각 및 안전관리 (5년 이상), 시설 및 구조물의 제염· 해체(8년 이상), 부지 복원(2년 이상) 순서로 진행된다. 2032년까지 해체 완료할 계획이다.

한수원은 2019년 상반기 중으로 해체계획서 초안을 마련한 이후 주민 공청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해체계획서를 보완한 이후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본격적인 해체작업은 습식저장시설에 보관중인 사용후핵연료를 6∼7년간 충분히 냉각시키고, 안전하게 반출한 이후 착수한다.

사용후핵연료는 소내에 구축할 예정인 건식저장시설에 한시적으로 보관 후 최종적으로는 고준위방폐물 처분시설로 이송할 방침이다. 고리1호기 최초 운전개시일부터 영구정지시까지지 발생한 사용후핵연료는 총 1,391다발이다.

 

건식저장시설은 지역 주민과의 협의와 소통을 통해 구체적인 구축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건식저장시설은 2017년 하반기부터 지역과 충분한 협의를 거친 후 2024년까지 확보할 예정이다.

해체계획서 승인 이후 비방사능시설인 터빈건물을 우선 철거하여, 폐기물 처리시설을 구축할 예정이다.

사용후핵연료를 반출(2025.12)한 이후 원자로 압력용기 및 내부구조물 등 방사능에 오염된 시설의 제염(방사능 오염물질 제거) 및 철거를 진행한다. 고리1호기 해체과정에서 발생하는 중·저준위 방폐물은 14,500드럼으로 예상되며, 발생 방폐물은 경주 중·저준위 방폐물 처분시설에 처분될 예정이다.

부지는 재사용이 가능한 수준으로 2032년 12월까지 복원하되, 부지 활용 계획은 지역 의견수렴, 전문가 자문 등 종합적인 검토를 거쳐 수립할 계획이다.

해외에서는 해체부지를 녹지, 타 발전시설, 상업용지, 주차장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부지 복원 이후 진행경과, 최종부지의 방사능 현황, 해체 전후의 원자로 시설 등 해체완료 상황을 원안위에 보고하고, 원안위는 관련 검토를 통해 고리1호기의 운영허가를 종료할 예정이다.

부지 복원으로 원전 해체가 완전히 끝난 게 아니다. 사용후핵연료를 반출하여 한시적으로 건식저장시설을 고리 원자력발전소 부지 내에 설치할 예정이이서 지역 주민과 갈등이 예상된다.

건식저장시설에 한시 보관중인 사용후핵연료를 최종적으로 고준위방폐물 처분시설로 옮겨야 한다. 정부는 원전부지 밖에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영구처분시설을 마련하여(2035년 이후) 안전하게 관리할 계획이다. 하지만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500미터 지대의 입지조건을 갖춰야 하고 주민동의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부지 확보가 지난한 과제이다. 정부는 1983년부터 사용후핵연료 등 관리시설 부지확보를 시도했으나 9차례 무산된 바 있다. 안면도(1990), 굴업도(1994), 부안(2004)이 그 실패 사례다.

◇원전해체 방법의 종류와 고리1호기의 해체방법은?

원전해체 방법에는 ‘즉시해체’와 ‘지연해체’ 방법이 있습니다. '즉시해체'는 사용후핵연료 냉각 후(최소 5년) 15∼20년 동안 해체하는 방법이며, '지연해체'는 사용후핵연료 제거 후 일정기간(10~60년) 동안 원전을 유지하여 방사능 준위를 낮춘 후 해체하는 방법입니다.

고리1호기의 경우 즉시해체방법으로 해체될 예정이며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즉시해체 방식이 선호되고 있습니다.

◇해체에 소요되는 비용과 충당방안은?

원전 1기 해체에 필요한 비용은 6,437억원으로 추산됩니다. (2015년 기준)

6,437억원의 해체비용은 밀폐관리·철거비(3,918억)와 중·저준위방폐물 처분 비용(2,519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용후핵연료 관리비용은 한국수력원자력이 정부가 관리하는 방사성폐기물관리기금에 별도로 적립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경수로: 다발당 3억2천만원, 중수로 : 다발당 1천3백만원

해체에 소요되는 비용은 발전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원전 운영기간 동안 발전원가에 반영하여 적립하고 있습니다.

해체에 소요되는 비용은 2년마다 재산정·조정하여 해체시점에서 비용에 부족함이 없도록 할 예정입니다.

◇고리1호기 해체가 국내 기술로 가능한지?

해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2022년 전까지 미확보 기술을 개발완료하여 국내 기술로 차질 없이 해체를 시행할 계획입니다.

국내 해체기술수준은 선진국 대비 70%로 평가되나, 2021년까지 100% 국산화를 목표로 기술개발 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현재 미확보된 핵심기반기술과 실용화기술을 2021년까지 확보하도록 기술로드맵을 수립하였습니다.

◇고리1호기 해체를 누가 수행하는가?

고리1호기 해체사업은 원자로운영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총괄 관리하며, 해체공사는 전문업체가 시행할 계획입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본사 및 중앙연구원, 사업소에 해체전담조직을 구성하여 해체사업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고리1호기의 해체공사는 국내 산업체에 의해 국내 기술로 수행할 계획이며, 한국수력원자력은 적정 시점에 분야별로 전문성을 보유한 국내 기업을 선정하여 해체사업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작업자 안전확보 방안은?

방사선 피폭이 예상되는 작업은 원자로와 1차계통 등의 제염·절단·분해 등이 있습니다.

방사선 피폭이 예상되는 작업은 원격제어, 정밀진단, 고방사선 차폐 등의 조치를 할 예정입니다.

또한 최적의 작업방안을 설계하고, 모형(mock-up)시설을 활용하여 작업자의 숙련도를 높일 계획입니다.

아울러, 피폭우려가 있는 작업은 방사선관리구역에서 방사선안전관리자의 관리· 감독하에 진행할 예정입니다.

◇향후 설계수명이 만료되는 원전은?

2030년까지 12기 원전의(고리1호기 포함) 설계수명이 만료될 예정입니다.

 

0

0

오늘의 기자

실시간 랭킹 뉴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