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핫라인 불통의 상징? "10번 통화 2~3번 연결"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하루 평균 3,000통 고작 40대 운영, 유관기관도 마찬가지...조만간 100대로 확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중앙거점 의료기관으로 지정된 서울 을지로 국립중앙의료원(황진환 기자/자료사진)

 

정부가 메르스에 신속하게 대처하겠다며 설치한 긴급전화 '메르스 핫라인'이 오히려 불통의 상징이 되고 있다.

일반 시민 뿐만 아니라 보건소나 119구급대 등 유관기관까지 통화에 애를 먹으면서 곳곳에서 아우성이 터져나오고 있다.

정부는 최근 메르스 관련 대책의 하나로 메르스 증상 시 의료기관 방문 전에 긴급전화(043-719-7777)로 연락하도록 당부했다.

지난 달 29일부터 신고를 받아온 '핫라인'의 기능을 확대해 메르스 확산에 대처하겠다는 것.

하지만 정작 통화량이 폭증하면서 현재는 전화 연결조차 쉽지 않은 상태다.

박모(34, 여, 청주)씨는 최근 딸 아이가 미열이 나 메르스 핫라인에 수 차례 연결을 시도한 뒤 허탈감을 감출 수 없었다.

박 씨는 "수 십 번 만에 겨우 통화가 이뤄졌지만 그냥 병원에 가라는 무성의한 답변만 들었다"며 "형식적인 답변과 장시간 불통 등의 문제가 많아 제대로 대처하고 있는 것인지 의문만 생겼다"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보건소, 소방본부 등 유관기관의 경우에도 별도의 연락체계 없이 핫라인을 사용하면서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보건소는 관할 지역에 확실한 의심환자가 발생하거나 환자에 대한 판단이 어려울 때 질병관리본부에 연락해야 한다.

충북에서만 하루 평균 3~4건의 고열환자를 이송하는 소방본부도 의심환자가 발생하면 곧바로 통보해야 한다.

그러나 청주의 한 보건소 관계자는 "10번 전화하면 2~3번 연결이 되는 식"이라며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솔직히 난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9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메르스 핫라인을 통해 걸려오는 전화는 무려 하루 평균 3,000여통에 달하고 있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