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KBS 수신료 인상, 지금은 아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 당당하고 존재감있는 야당
- 세월호 국정조사 특별법 제정
- 특검은 검찰수사에 달려
- 너무 강하다고? 눈물도 많아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

존재감 있는 야당을 만들겠다. 어제 새정치민주연합의 새 원내 사령탑으로 선출된 박영선 원내대표의 말입니다. 원대대표 선거가 상당히 치열했습니다. 4명의 중진 의원들이 나왔고요. 2차 투표까지 치러졌는데 의원들은 결국 존재감 있는 야당을 만들겠다는 최초의 여성 사령탑을 택한 겁니다. 새누리당도 어제 이완구 의원을 새 원대대표로 선출했죠. 이완구 대 박영선. 박영선 대 이완구. 상당히 강대강의 이미지인데 두 원대대표가 앞으로 정국을 어떻게 풀어갈지 궁금합니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오늘 아침 일정 상 못 나오지만 곧 출연을 하겠다고 약속을 한 상태고요. 오늘은 우선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부터 만나보겠습니다. 박영선 원내대표님, 안녕하세요?

◆ 박영선> 네, 안녕하세요.

◇ 김현정> 아직은 호칭이 좀 어색하시죠?

◆ 박영선>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헌정 사상 첫 여성 원내대표가 되신 소감이 어떻습니까?

◆ 박영선> 막중한 책임감을 느껴서 마음이 사실 많이 무겁습니다.

◇ 김현정> 동료 의원들이 왜 박영선 원내대표를 뽑았다고 생각하십니까? 그 이유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 박영선> 지금 국민들이 야당이 좀 더 당당하게 맞서줬으면 좋겠다. 그리고 또 존재감이 있었으면 좋겠다, 하는 요구가 상당히 강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민들의 요구에 대한 응답이 아닐까 저는 그렇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부족함이 많지만 의원님들이 선택을 해 주신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김현정> 존재감 있는 야당. 어떻게 해야 존재감이 생길까요, 왜 지금은 존재감이 없는 걸까요. 일단 원인부터 좀 분석을 해 보셨어요?

◆ 박영선> 국민의 목소리를 어떻게 전달하느냐의 문제이고. 국민의 가슴과 마음을 어떻게 읽느냐의 문제인데요. 사실 그동안 저희가 하느라고 노력을 했습니다마는 때때로 그것이 국민들에게, 국민의 생각과 조금 다른 방향으로 비춰질 때도 있었고 또 저희의 진정성과 진심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던 면도 있지 않았나,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새정치민주연합 신임 원내대표로 선출된 박영선 의원. (자료사진)

 

◇ 김현정> 그렇다면 박영선 신임 원내대표가 앞으로 해야 될 일, 새정치연합의 가장 시급한 숙제는 뭐라고 보십니까?

◆ 박영선> 우선 제일 시급한 것은 세월호 국회를 여는 일입니다. 이 세월호 국회는 사실 대한민국의 모든 문제가 여기에 귀결돼 있다고도 생각이 되어지는데요.

◇ 김현정> 그게 무슨 말씀이실까요?

◆ 박영선> 일단 세월호 국회라는 의미는 세월호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 또 대책 또 피해자 분들에 대한 상처를 보듬는 일, 이렇게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수 있겠지만 여기에 연결된 왜 우리가 이렇게 세월호 참사를 겪어야 했느냐에 대한 원인분석 차원에서 보면 대한민국의 모든 문제가 여기에 저는 귀결돼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세월호 국회를 시작으로 올바른 대한민국 그리고 성숙한 국회를 만들어야 되겠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렇게 정말 힘들게 살아가는 국민들을 위한 정당 그리고 갑의 횡포를 막아내는 을을 위한 정당입니다. 그래서 저희가 얼마만큼 이런 힘든 고단한 삶을 사는 국민들에게 위안을 드릴 수 있을지 그것이 앞으로의 저희가 할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첫 번째 숙제는 일단 세월호 국회라고 말씀을 하셨어요. 국정조사를 해야 된다는 입장이시죠?

◆ 박영선> 국정조사는 당연히 해야 되는 것이고요.

◇ 김현정> 당연한 거고.

◆ 박영선> 제일 중요한 것은 특별법을 만드는 것입니다.

◇ 김현정> 세월호 특별법을 만든다고요?

◆ 박영선> 세월호 특별법에 어떠한 내용을 담게 되느냐가 더 중요하겠죠. 일단 제가 생각하는 것은 진상조사를 잘하기 위해서 진상조사를 얼마만큼 철저하게 할 수 있도록 특별법에 담아주느냐의 문제이고요. 이것은 좀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그동안의 국정조사를 하면 정부에서 자료제출을 안 한다거나 아니면 일시적으로 그 위기만 넘기려고 했던 경향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이 세월호에 대한 진상조사는 시간을 좀 길게 갖고 앞으로 대한민국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그러한 원인분석의 차원에서 이뤄져야 된다는 부분이 있고요. 또 하나는 이 피해자들에 대해서 앞으로 어떻게 국가가 그리고 정부가 이런 상처를 보듬어줄 수 있느냐의 그런 커다란 두 가지 축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국정조사는 물론이고 특별법까지 제정해야 된다. 사실 새누리당의 이완구 신임 원내대표도 국정조사에는 원칙적으로 찬성을 했습니다. 그런데 그 범위와 시기를 놓고는 생각이 또 다를 수가 있어서요. 일단 국정조사는 언제 어디까지 조사를 해야 된다고 보세요?

◆ 박영선> 일단 오늘 제가 이완구 신임원내 대표에게 축하의 말씀을 드리면서 공식적으로 오늘이라도 당장 만나 뵙자고 제안을 드립니다. 그래서 저희가 만나서 이 문제를 정말 진지하게 그리고 국민의 소리를 듣는 국회로 만들어야 되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오늘 일단 만나서 하나하나 푸실 생각이시군요?

◆ 박영선> 네, 네.

◇ 김현정> 박영선 원내대표가 생각하실 때는 국정조사 바로 시작하고 범위도 제한 두지 않고 가야 된다, 이런 입장이시고요, 개인적으로는?

◆ 박영선> 가능하면 빠른 시일에 착수를 할 필요가 있죠. 왜냐하면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4월 16일부터 지금까지 이제 거의 한 주만 더 지나면 한 달 가까이 되지 않습니까?

◇ 김현정> 그렇죠.

◆ 박영선> 그래서 그동안의 사고 수습을 위해서 저희 야당이 가능하면 목소리를 낮추고 그리고 사고수습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협조를 해드렸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제는 진상조사를 하고 다시는 이러한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저희 국회가 모든 대안을 마련하는 그런 시기가 됐지 않았나 그렇게 생각합니다.

◇ 김현정> 이게 또 특검으로 가느냐, 마느냐의 문제는 또 다른 차원인데요. 새누리당은 사실 특검까지 가는 것에 대해서는 좀 부정적인 것 같습니다. 일단 검찰수사 지켜보자는 입장인데 어떠십니까?

◆ 박영선> 특검의 문제는 검찰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검찰이 수사를 얼마큼 정확하게 하고 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느냐의 문제라고 봅니다. 그래서 검찰이 만약에 제대로 해 준다면 아마 국민들도 특검을 더 이상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국민들의 눈에 검찰의 수사가 미흡하다고 생각했을 때는 국민들이 특검을 요구한다고 생각하고 그렇게 국민들의 특검 요구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그것은 검찰의 태도에 달려 있다라고 보고 있습니다.

◇ 김현정> 검경합동수사본부가 지금 하고 있는데요. 지금까지는 잘하고 있나요?

◆ 박영선> 지금까지는 수사에 대해서도 비판의 여지가 좀 있어 보입니다. 예를 들면 해경의 초동 대처 부분과 관련해서는 검찰이 과연 국민들의 의혹을 해소할 만큼 그리고 또 국민들의 어떤 시각에서 봤을 때 저 정도면 됐다라는, 어떤 그런 정도까지 수사를 했느냐의 부분. 이런 부분은 좀더 지켜봐야 된다고 생각하고 그 부분에 있어서 수사에 박차를 좀더 가해 주셨으면 하는 것이 저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미진하면 이건 특검 갈 수밖에 없다, 잘해 달라, 이런 주문이세요.

◆ 박영선> 그렇습니다.

◇ 김현정> 워낙 국회에 과제가 많다 보니까 지금 시청자 질문도 여러 개가 들어오는데요. 짧게 답변 부탁드릴게요. 지금 국회에서 KBS 수신료 인상시키느냐 마느냐. 논란 벌이다가 어제 미방위에 상정까지는 됐습니다. 그런데 신임 원내대표로서 입장이 어떠신가요?

◆ 박영선> 저는 KBS의 수신료 인상문제는 KBS가 얼마만큼 공정한 방송을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제 세월호 참사의 유족 분들도 결국은 KBS 문제 때문에 지금 청와대 앞에까지 가서 시위를 하고 있지 않습니까?

◇ 김현정> 잠시 후에 저희가 연결합니다, 그쪽은.

◆ 박영선> 그래서 어제 새누리당이 이것을 상정했다는 것은 민심을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것 아닌가 하는 그런 우려가 생깁니다. 저도 걱정이 되는 부분인데요. 일단 KBS 수신료의 문제는 여러 가지 KBS의 어떤 경영상의 문제라든가 다른 제반의 문제와도 얽혀 있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일단 국민적 동의가 필요하지 않나, 저는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 김현정> 국민적 동의. 그럼 지금은 아니라고 보세요, 그 동의가?

◆ 박영선> 지금은 시기적으로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렇게 보시는군요. 1분 남았는데 제가 이 질문 드리기로 약속을 해서 드립니다. 이완구 원내대표도 그렇고 여러 새누리당 의원들이 박영선 원내대표만은 좀 아니었으면 좋겠다, 이런 말씀하셨대요. 왜 그러냐 그랬더니 너무 강하다, 이런 말씀하셨답니다. 뭐라고 답하시겠어요?

◆ 박영선> 제가 연설에서도 말씀드렸지만 강하다고 하지만 제가 사실은 눈물 많은 사람이고요. 그리고 강하다기보다는 원칙에 입각해서 지금까지 문제를 풀어왔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법사위원장이라는 자리가 사실은 국무회의에서 조정되지 못한 각 부처의 충돌된 법안을 조정하는 그런 역할이 더 중요합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그런 부분이 좀 많이 안 알려져 있는 측면입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감성적인 여성이라는 거 이것도 좀 알아달라는 이런 부탁. 여기까지 전해 듣도록 하죠. 고맙습니다.

◆ 박영선> 감사합니다.

◇ 김현정>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신임 원내대표였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