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김선일씨 억류 사실이 확인되자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소집해 상황파악에 나서는 등 비상 대책마련에 착수했다.
정부는 21일 오전 8시 권진호 국가안보보좌관 주재로 상임위원회를 긴급 소집해 정부차원의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우선 NSC는 구체적인 상황 파악과 함께 범행 동기와 배경 등을 분석하고 있다. 또 김선일씨의 소재 파악과 함께 범행단체를 상대로 석방 교섭에 나서기로 했다.
아울러 외교통상부와 이라크 현지 대사관에도 상황파악을 지시한데 이어 국방부와 국정원 등 다른 관계기관에 대해서도 정확한 정보를 보고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앞서 노무현 대통령은 권 보좌관과 이종석 NSC 사무처장으로부터 이 문제를 보고 받고 긴급 대책마련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 보고받고 긴급대책 마련 지시
외교부도 이날 아침 최영진 차관 주재로 긴급회의를 갖고 대책반을 가동하는 등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외교부는 김씨를 억류한 단체가 ''모노세이즘 앤 지하드''이라는 이름의 지하단체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단체가 무장단체라는 것만 알려졌을 뿐 그 성격과 활동 등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보고되지 않고 있다.
외교부는 이 단체를 상대로 석방 교섭에 나서고 있으며 석방 교섭을 위해 현지 공관과 유관국은 물론 이라크 주재 다국적군의 협조를 받기로 했다.
외교부는 이어 이라크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들을 상대로 한 추가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현재 이라크에 체류중인 우리 국민은 교민과 상사원 등 모두 67명에 이른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을 상대로 이라크 여행을 최대한 자제해 줄 것을 요청하는 등 신변 안전 대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라크 대사관도 교민들에게 이메일 통신문을 보내 당분간 외부활동을 자제토록 당부하는 한편 긴급한 용무가 없는 교민 및 상사원들에 대해서는 출국을 강력히 권유할 방침이다.
현지 체류 67명, 이라크 여행 자제 당부국방부도 김선일씨에 대해서 별도의 다각적인 구출 노력을 벌이고 있다.
특히 합동참모본부는 "이라크 주둔 다국적군사령부에 파견된 한국군 연락장교를 통해 김씨의 정확한 소재지 파악과 함께 신속한 구출노력을 전개해줄 것을 요구하도록 긴급 지시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또 이라크 체류 국민과 상사주재원 등의 신변안전 요청이 있을 경우 남부 나시리아에서 활동 중인 서희.제마부대 경비요원들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그러나 저항세력이 인질석방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우리군의 철군 요구는 수용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서희.제마부대가 현지인들로부터 우호적인 평가를 받았고 자이툰부대도 전투가 아니라 평화재건 목적으로 파병되는 만큼 철군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우리 군은 서희부대원 330여명을 다음달 초순 자이툰부대 파병지인 북부 쿠르드족 자치지역인 아르빌로 올려 보내고 선발대와 본대 병력 2000여명을 8월 중으로 출국시킨다는 기존 계획을 유지하기로 했다.
CBS정치부 권민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