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워킹홀리데이(이하 워홀) 프로그램에 참가했다가 살해된 한국인 여대생 반모(22) 씨 사건의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또 다른 워홀러 김모(28) 씨가 피살되면서 이 제도의 개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과 주요국간 협정에 의해 도입한 워홀 제도는 청년실업률 완화 및 해외취업 장려 등의 목적이 있는 정부와 민간 부문의 수요가 맞아떨어지면서 인기를 끌고 있지만 애초 취지와 달리 부작용이 속출하면서 보완책 마련의 필요성이 부각되는 실정이다.
20일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은 1995년 호주를 시작으로 캐나다, 뉴질랜드, 일본,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홍콩, 영국 등 17개국과 워홀 협정을 체결했다.
워홀은 만 18∼30세 한국 젊은이들이 최장 1년간 외국에서 일하면서 여행도 할 수 있도록 허용한 일종의 관광취업비자 제도다.
관련 기사
지난해에만 약 4만8천500명이 워홀 비자를 이용해 외국으로 나갔는데, 이중 70% 정도가 인원수 제한이 없고 영어권인 호주로 갔다.
독일과 덴마크도 호주와 더불어 인원수 제한이 없지만 영어권이 아니어서 워홀 희망자에게 인기가 낮고 다른 영어권인 캐나다·뉴질랜드·아일랜드 등은 인원수를 연간 400∼4천명으로 제한하고 있어 비자 받기가 쉽지 않다.
반면 호주는 영어권 국가 중 인원수를 제한하지 않고 있는 유일한 국가여서 매년 3만명이 넘는 한국 젊은이들이 여행과 다양한 체험, 영어 연수 등의 목적으로 호주를 찾고 있는 상황이다.
호주를 찾는 한국 워홀러 수는 2008년 3만2천635명으로 처음 3만명을 넘어선 이래 2009년 3만9천505명, 2010년 3만4천870명, 2011년 3만527명, 2012년 3만4천234명 등으로 꾸준히 3만명을 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문화체험도 하면서 돈도 벌고 영어도 배운다'는 애초 취지와는 달리 각종 범죄 위험에 노출되거나 임금 착취에 시달리는 등 역기능이 적지 않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호주 워홀러 안병훈(27·가명) 씨는 "처음엔 막연히 호주가 선진국이란 말만 듣고 한국처럼 치안이 좋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정작 실상은 많이 다른 것 같다"며 "특히 어두워지면 많이 위험하고 인종차별 정서도 심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위험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쓸만한 일자리를 구하기가 어려워 어쩔 수 없이 새벽 청소일과 같은 위험하고 힘든 3D 업종의 일자리를 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호주도 워홀 협정 체결국을 점점 늘려가다 보니 경기침체로 자국에서 일자리 찾기가 어려운 유럽 등지의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호주로 몰려오면서 워홀러들간의 구직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지는 추세다.
특히 영국이나 아일랜드, 독일, 프랑스 등 영어권 혹은 영어와 비슷한 계통의 언어권 국가에서도 호주로 워홀을 오다보니 상대적으로 영어가 서툴고 인종적으로도 상이한 한국 워홀러들은 이들과의 구직 경쟁에서 밀리기 일쑤다.
많은 워홀러들이 언어상의 장벽으로 인해 호주인이 운영하는 업소에 취업하기가 불가능에 가깝고 주로 한인들이 운영하는 식당이나 카페 혹은 영어가 필요없는 단순 노무직에서 일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보니 영어를 쓰거나 접할 기회는 거의 없는 편이다.
적잖은 호주 교민들이 청소업에 종사하는 관계로 숨진 반씨와 같이 청소 아르바이트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업종 특성상 주로 업무시간이 끝난 뒤인 밤늦은 시간이나 새벽에 일을 나가야 하기 때문에 항상 범죄 피해 가능성에 노출돼 있다.
워홀러들의 약점을 잘 아는 악덕 교민업주나 한국인 브로커에게 걸려 사기나 임금착취를 당하는 사례도 허다하다.
19일 실종된 지 사흘 만에 브리즈번에서 피살체로 발견된 김 씨 역시 온라인 직거래 사이트를 통해 알게 된 한국인들에게 싼 수수료로 환전을 하려다가 참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청년실업률 완화 등의 목적으로 워홀을 적극 권장하고 있을 뿐 워홀 참가자들의 정확한 실태 파악이나 제도 시행에 따른 구체적 성과 평가 등에는 소홀한 편이어서 부작용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그나마 언론에서 워홀 제도의 부작용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잇따르자 최근 워홀러에 대한 정보제공과 상담 등의 역할을 하는 '워킹홀리데이 인포센터'를 설치했지만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시드니에 거주하는 한 한국 대기업 주재원은 "말이 좋아 해외취업이지 한국에 온 외국인 노동자들이나 마찬가지"라며 "청년실업률 완화도 좋지만 취업의 양만 볼 게 아니라 질도 봐야 할 시점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