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홀로가구'가 가족단위가구보다 돈을 더 잘쓰는 이유는?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혼자 사는 1인가구가 가족단위의 3~4인 가구보다 소비를 더 많이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는 양육이나 가족부양 부담이 없기 때문.

대한상공회의소는 조사결과 1인가구의 월가처분소득(월 소득에서 금융회사 등에 매달 갚아야 할 부채 상환액을 뺀 소득) 평균은 32.9%로 3∼4인가구(17.2%)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다고 밝혔다.

금액으로도 1인가구 월가처분소득은 80만5천원, 3∼4인가구 73만5천원으로 더 많았다.

월주거비용도 3∼4인가구(55만5천원)가 1인가구(40만6천원)보다 월평균 15만원 가량 더 들었다.

다만 월수입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볼때는 1인가구(27.8%)가 3∼4인가구(18.5%)보다 10%포인트 가까이 더 높았다.

대한상의는 이같은 높은 주거비 부담에도 불구하고 1인가구는 양육이나 가족부양 부담에서 자유로운 까닭에 소비여력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분석했다.

◈ 소비 키워드는 'S.O.L.O'

1인가구들의 소비행동을 분석한 결과 소비키워드는 'S.O.L.O'.

자기(Self)와 온라인(Online), 저가(Low Pirce), 편리성(One-stop) 추구로 요약된다.

1인가구는 당연히 나 자신(Self)을 위한 지출이 많아서 여행(41.6%), 자기계발(36.0%), 레저·여가(32.8%), 건강(32.0%), 취미생활(26.0%) 등에 크게 할애했다.

대신 지출을 줄일 항목으로는 외식(39.2%), 통신비(33.6%), 의류·패션(16.4%), 식품(16.0%) 등이었다.

1인가구 증가는 온라인(Online)의 영향력을 한층 더 높여줄 것으로 전망됐고 인터넷 구매는 패션·의류(63.6%), 가전(53.2%), 신발·구두(52.8%), 화장품(52.0%) 등의 품목이 절대적이었고 가정·생활용품도 41.6%에 이르렀다.

저렴한 제품(Low Price)의 소비를 위해 '세일기간을 기다린다'가 1인가구의 과반수(51.2%)였으며 다소 비싸더라도 품질이 좋은 식품·재료를 구입하는지를 물은 결과는 27.6%에 그쳐 3∼4인가구(55.6%)의 절반에 불과했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한 번에 해결하려는 성향(One-stop)이 강한 것으로 드러나 어떤 형태로 요리나 조리를 하느냐는 질문에 1인가구는 신선식품(39.1%), 간편식(38.5%), 가공식품(21.8%)이라고 답했다.

1인가구는 혼자 사는 것에 대해 만족한다(56.4%)가 그렇지 않다(8.4%)보다 월등히 많았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