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순 “4대강 사업으로 수질과 녹조 개선됐다”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환경부 장관, 오해하고 있는 것 같아

- 4대강 사업으로 깊어진 수심, 수온 낮춰 녹조 억제하고 있다
- 수질이 개선됐다는 것은 통계적으로 증명되고 있어
- 생태계 변한 것은 사실이지만 오히려 좋은 쪽으로 잘 되고 있다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 방 송 : FM 98.1 (18:00~20:00)
■ 방송일 : 2013년 8월 9일 (금) 오후 7시
■ 진 행 : 정관용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교수)
■ 출 연 : 박석순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


대구시 달성군 현풍면의 낙동강 지류까지 독성 녹조인 남조류가 북상하며 악취를 풍기고 있다. (자료사진)

 

◇ 정관용> 윤성규 환경부장관이 오늘 4대강의 보도 녹조의 한 원인다. 이렇게 공식적으로 4대강과 녹조의 연관성을 인정했습니다. 그리고 MB정부 시절에 공무원 등을 동원해서 녹조를 제거하려는 등 은폐하려했다는 지적도 있었고요. 최근의 한 회의에서 윤 장관은 예방할 것이 아니라 문제가 부각될 때까지 평상시 상태대로 유지해라. 4대강 사업 문제가 있다면 모든 게 다 드러나야 한다. 이런 말도 했죠. 그런데 그렇지 않다는 주장도 있어서 양쪽 목소리를 듣겠습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립환경과학원 원장을 지낸 바 있는 대표적인 4대강 찬성론자이시고 지난 2011년 10월 국립환경과학원 원장에 취임하셔서 올 4월에 퇴임하셨죠.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박석순 교수 먼저 연결합니다. 박 교수님 안녕하세요.

◆ 박석순> 네, 안녕하십니까?

◇ 정관용> 오래간만입니다.

◆ 박석순> 네, 오랜만입니다.

◇ 정관용> 오늘 윤성규 환경부장관이 4대강의 보도 녹조의 한 원인다. 이런 말을 했어요. 이 말은 결국 4대강의 보 설치한 결과 수질이 나빠졌다는 걸 공식 인정한 발언처럼 여겨지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 박석순> 그거는 우리 장관님께서 조금 오해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 정관용> 어떤 오해요?

◆ 박석순> 이게 지금 4대강 사업을 함으로 해서 말입니다. 수질이 여러 가지로 개선되었습니다. 그 이유가 뭔가 하면 첫번째 하나는 말입니다. 강가에 있던 하천부지 농사를 다 거둬냈다고요. 거기에서 나온 비료성분이라든지 거기에 나오는 오염물질이 강으로 흘러들어가지 않고 말입니다. 두번째는 총인처리시설이라고 해서 비료성분이죠. 이게 녹조의 아주 중요한 물질입니다.

◇ 정관용> 총인이라고 하는 게.

◆ 박석순> 인이라는, 인 성분입니다.

◇ 정관용> 인 성분을 없애는 그런 처리?

◆ 박석순> 네, 인을 없애는 처리시설을 해서 총인 농도가 상당히 떨어졌습니다. 거의 여기에 과거보다도 4대강 살리기 사업하기 전보다도 한 2분의 1 내지 3분의 1로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또 하류쪽에는 준설을 했거든요. 준설을 해서 거기에서 나오는 물질이 줄어들었고.

◇ 정관용> 오염물질이 없어졌다?

◆ 박석순> 오염물질이 줄어들었고. 또 하나는 뭐냐 하면 물그릇이 커지면 말입니다. 여름에 더울 때 온도가 쉽게 올라가지 않습니다.

◇ 정관용> 그렇겠죠.

◆ 박석순> 이게 녹조 생기려고 하면 더워야 하거든요. 물이 뜨거워야 되는데 거기도 많이 그렇고 또 하나가 뭔가 하면 우리가 수심이 깊으면 말입니다. 녹조가 발생이 적습니다. 그래서 깊은 수심의 물은 녹조 발생이 줄어든다고요. 그런 성과를 보면 실제로 녹조도 과거에 비해서 줄어들었고. 또 하나가 뭔가 하면 4대강 살리기 사업전하고 이거 비교했을 때 말입니다. BOD라든지 COD라든지 여러 가지 물질들이 다 수질이 개선되어 졌습니다. 이게. 거기에 대한 오해가 있는데 단 하나가 뭔가 하면 물이 상류에서부터 천천히 흐르거든요. 그래서 옛날에는 낙동강 물이 대구나 구미부터 수질이 안 좋았어요. 이게 흘러 흘러 내려가다가 한참 내려서 창녕쯤 이게 녹조가 생겼는데. 이게 천천히 흐르잖아요. 유속이 떨어지니까 말입니다.

◇ 정관용> 그렇죠.

◆ 박석순> 물이 천천히 흐르니까 과거에는 창녕이나 물금쯤 생기던 녹조가 지금은 대구 하류에서 이것이 생기는 거죠.

◇ 정관용> 그러니까 낙동강 상류나 중류 이상으로 올라온 이유는.

◆ 박석순> 올라온 거죠. 올라온 거는 맞는 거죠. 맞는데, 수질은 실질적으로 좋아진 거죠. 거기에 대한 오해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 정관용> 수질이 오히려 나빠졌다는 자료도 많이 나오지 않나요?

◆ 박석순> 아닙니다. 그거는 통계처리를 해서 제가 유튜브에도 통계방법까지 다 강의를 해서 올려놓은 것도 있습니다.

◇ 정관용> 금강이나 이런 데서 집단적으로 물고기가 폐사하고 이런 거는 어떻게 된 겁니까?
그러면?

◆ 박석순> 금강에서 물고기 폐사 원인은 아직 보니까 잘 안 밝혔는데 말입니다. 그때 현장에 즉시 가서 죽었던 물고기가 왜 죽었는지 조사를 제대로 못했어요.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추측하기를 말입니다. 지금도 가보면 물고기가 엄청 많습니다. 거기에요. 물고기라는 게 보면 조건만 적합하면 갑자기 늘어납니다. 그래서 많은 어류 전문가들은 그런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너무 물고기들이 떼로 자라서 거기에 먹을 것이 부족하고 물고기라는 게 떼로 몰려다닌대요. 그래서 아마 사망이 나타났을 거다 이런 이야기를 있고.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모르는 거죠.

◇ 정관용> 그러니까 수질 악화 때문은 아니라고 보신다?

◆ 박석순> 아니죠. 그게 전혀 아니죠.

◇ 정관용> 그래요? 간단히 정리하면 박 교수님은 어쨌든 4대강 공사결과 수질도 좋아졌고 녹조도 과거보다 줄어들었다?

◆ 박석순> 줄어든 거죠.

◇ 정관용> 요즘 이른바 녹조라떼라는 얘기까지 들리면서 낙동강의 녹조가 심각하다는 보도가 자꾸 나오는 얘기가 과거보다 심해져서 그런 게 아닌가요?

◆ 박석순> 아니에요. 과거에도 이게 엄청 많았죠. 자료를 보면 과거에도 훨씬 더 그런 일들이 많이 있었어요. 그래서 낙동강을 주로 연구하던 분들도 그런 얘기를 하죠. 지금 요즘은 말입니다. 낙동강에 남조류 숫자가 말입니다. 거의 1만셀라고 해서 만 개 정도, mL당 1만 개 정도의 셀이 있고 2만 개 정도인데. 과거 마리보면 27만 개가 있었던 때도 있고 5만 9000개가 있었던 때도 있고. 여러 가지 자료들이 기록들이 다 있습니다. 그런데 과거에는 남조류 세포를 말입니다. 정부에서 조사를 못했어요. 단지 학자들이 한 자료만 갖고 이거를 보거든요.

◇ 정관용> 남조류 세포가 많아지면 그게 녹조의 원인이 되는 거죠?

◆ 박석순> 녹조죠. 그게 녹조 현상인데. 과거에는 정부에서 이거를 카운트를 안 했어요. 단지 거기에 엽록소만 측정을 했어요. 엽록소만 측정을 했는데. 그때 조사한, 다른 학자들이 조사한 자료를 보면 지금 보면 여기 27만 개가 있었던 때도 있고 5만 9000개가 있었던 때도 있는데.

◇ 정관용> 그런데 지금은 1만 개 정도다?

◆ 박석순> 1만 개, 2만 개 정도 그 사이에 왔다 갔다 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그만큼 줄어들었다?

◆ 박석순> 줄어들었죠.

◇ 정관용> 국립환경과학원 원장으로 계신 사이에도 계속 측정해 봤더니 오히려 수질이 좋아진 게 분명 확인됐다?

◆ 박석순> 네. 충분히 좋아졌고 통계방법을 그때 보면 잘못 써서 일부에서 발표 나온 게 있는데. 제대로 된 통계방법으로 하면 수질이 전부다 좋아졌죠. 특히 하류에서는 상당히 좋아졌죠.

◇ 정관용> 알겠습니다. 이 부분 한번 확인을 좀 해 봐야 할 것 같고요. 그리고 이왕 전화해 모신 김에 최근에 감사원에서 이 4대강 사업이라고 하는 게 대운하를 염두에 두고 계획이 변경됐다. 이런 보도도, 감사원의 감사결과가 나오지 않았습니까? 우리 박 교수님께서는 4대강 사업이 처음에 애초 계획에서 대폭 확장된 계획으로 변경된 그 사실을 혹시 알고 계셨어요?

◆ 박석순> 그건 잘 모르겠습니다. 그 당시에 저는 그걸 관여하지 않았고 잘 모르겠어요. 단지 내가 알기로는 200년 빈도에 맞춰서 말입니다. 통수단면, 통수량이라는 게 물이 흐르는 양 말입니다. 그걸 하기 위해서 하다 보니까 하류에 깊어졌다. 특히 뭔가 하면 우리나라에서 지금 홍수피해가 제일 많은 데가 경상남도입니다. 왜냐하면 낙동강이 상류에서는 급하게 내려가다가 말입니다. 대구쯤 지나면 여기가 평평해집니다. 그리고 일부는 뭔가 하면 목이 좁아집니다. 그래서 이게 갑자기 가기 때문에 경상남도 같은 데서는 홍수피해가 많고 그것을 막기 위해서. 200년 빈도라는 것은 뭔가 하면 200년에 한번 정도 올 대홍수 말입니다.

◇ 정관용> 거기에도 대비할 수 있게?

◆ 박석순> 거기에도 범람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6m까지 파야 된다. 그리고 또 하나가 뭔가 하면.

◇ 정관용> 그런데 그런 논리로 그 동안 설명해 왔었는데. 최근에 감사원의 결과를 보니까 처음에는 4대강 사업할 때 그냥 보를 다 합쳐서 한 4개 정도만 건설할 계획을 세웠는데. 청와대가 개입하고 비밀 태스크포스팀이 작업을 한 결과로 보가 16개씩이나 되고 바닥도 6m로 파는 식으로 변경됐다. 그런데 박 교수님은 이런 변화 사실은 전혀 모르셨다?

◆ 박석순> 그건 제가 모르는 일입니다. 모르고 그리고 나는 또 이런 생각을 해요. 왜 그걸 구태여 6m를 파야지 대운하가 되느냐. 유럽 같은 데는 있잖아요. 4m로 운하가 다니거든요. 그리고 또 우리 여기 한강도 한 4m 정도 됩니다. 한강도 4m 되는데 이렇게 다니는데 구태여 꼭 6m을 파야 배가 다닌다 그건 좀 이상한 논리라고 난 생각합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대운하를 염두에 두고 계획을 바꾼 게 아니라고 생각하세요? 그러면.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