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김무성·권영세 증인채택 한발 물러서…여야 오늘 담판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김한길 민주당 대표가 지난 5일 오전 서울광장에 설치된 국민운동본부 천막 사무실에서 열린 당 의원총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윤성호기자/자료사진

 

여야가 국정원 국정조사의 활동기간을 오는 23일까지 8일간 연장하기로 잠정 합의한 가운데 6일 증인 채택을 둘러싼 최종 담판에 나선다.

민주당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과 함께 핵심 증인으로 지목했던 김무성 의원·권영세 주중대사에 대해서는 증인 채택 협상에서 사실상 한발 물러서기로 했다.

여야는 전날 원내지도부간 협상을 통해 국정조사 기간 연장과 함께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의 증인 채택과 불출석시 이들에 대한 동행명령장 발부와 고발 조치를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협상의 가장 큰 걸림돌인 김무성·권영세 증인 채택을 둘러싸고 여야의 합의안에 대한 민주당 내 의견이 표출되면서 최종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

'추가 합의하는 증인에 대해 출석을 요구해 증인신문을 실시한다'는 기합의 내용이 이들의 증인 출석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민주당 특위위원들과 일부 강경파의 강한 반발에 부딪힌 것이다.

민주당은 전날 밤 10시 30분까지 4시간 마라톤 의총을 열어 '교통정리'에 나섰지만 합의 가능한 핵심 증인을 불러 국정조사를 정상화하자는 지도부의 현실론과 김무성·권영세 증인 채택까지 일괄 합의해야 한다는 강경론이 충돌해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결국 의총에서 수렴된 의견들을 가지고 당 지도부와 특위위원들이 따로 모여 새벽 2시까지 비공개 회의를 진행해 최종 협상안을 마련했다.

‘미합의된 증인’ 이라는 수준의 표현 대신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대사를 보다 명확하게 명시해서 연장된 국정조사 기간 동안 증인 채택을 위해 노력한다고 합의하는 수준의 협상 대안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합의안보다 한발짝 나아갔지만 김무성·권영세 증인 채택을 사실상 강제하지 않기로 하면서 민주당 차원에서는 한발 물러선 결론을 내린 것이다.

이 과정에서 ‘원판김세’의 증인채택이 이뤄지지 않으면 특위 간사직을 사퇴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발언해왔던 정청래 의원이 간사직 사퇴 의사를 밝히기도 했지만 당 지도부 등이 만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6일 오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이같은 수정안에 대해 최종 결정했다.

민주당 김관영 대변인은 최고위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기존) 합의안에는 미합의 증인에 대해 노력한다’로 돼있는데 이 부분을 명확하게 해서 노력한다로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또 원세훈, 김용판의 출석을 담보하기 위한 협상안이 있는지 묻자 “두 사람이 출석하지 않는 게 명백하다면 더 이상 국조를 못하는 것으로 했다”며 “그 책임은 새누리당이 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른바 ‘권영세 녹취파일’을 통해 권영세-김용판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 것으로 지목된 박원동 전 국정원 국장에 대한 증인 채택에 대해서도 새누리당의 합의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박원동 전 국장에 대해 "합의한 적이 없다"고 밝혀 여전히 이견이 적지 않음을 시사했다.

여야는 이날 오후 특위 간사간 만나 개략적으로 합의했던 20여명의 증인에 관해 조율한 뒤 원내지도부를 포함한 3+3, 또는 2+2 회동을 갖고 최종 합의를 할 계획이다.

0

0

오늘의 기자

    많이본 뉴스

      실시간 댓글

        상단으로 이동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다음 카카오채널 유튜브

        다양한 채널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제보 APP설치 PC버전

        회사소개 사업자정보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용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