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그냥 '쉬었음' 인구 264.1만 명…역대 최대 규모 기록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취업도, 창업도, 구직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 2003년 집계 이래 가장 많아.
고령화로 70대 이상 쉬었음 인구 늘어난 영향 큰 듯
15세 이상 인구 중 비경활인구 비중은 역대 최저 기록

국가데이터처 제공국가데이터처 제공
최근 1년 동안 일을 하지도, 일자리를 구하지도 않는 '쉬었음' 인구가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가 5일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비경제활동인구는 1622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9천 명 증가했다.

다만 전체 인구가 더 빨리 증가하면서 15세 이상 인구 중 비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5.4%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했다. 이는 1999년 현재 기준으로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성별로 나눠보면 여자가 61.7%로 남자(38.3%)의 두 배에 가까웠다. 연령계층별로는 70세 이상(28.1%), 60대(18.7%), 15~19세(12.9%) 순으로 비중이 컸다.

현재 활동상태에 따라 나누어보면 가사(36.9%)와 육아(4.2%)로 집에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재학·수강등(20.2%), 별다른 이유 없이 쉬었음(16.3%)이 뒤를 이었다.

특히 쉬었음 인구는 264만 1천 명으로 7만 3천 명 증가했는데, 이는 2003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쉬었음 인구를 성별로 보면 여자는 6천 명 감소한 반면, 남자는 7만 9천 명이나 늘었다. 지난해 쉬었음 인구가 여자는 4만 7천 명 증가했다가 감소세로 돌아선 반면, 남자의 경우 2023년에는 7만 명, 지난해에는 무려 19만 9천 명이나 증가했는데 이번에 또 늘어난 것이다.

다만 이는 고령화로 인해 일자리를 갖지 않는 노년층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연령별로 보면 70세 이상에서만 4만 명 늘면서 전체 쉬었음 인구 가운데 70세 이상의 비중도 1.3%p 급증했다.

다만 30대 쉬었음 인구도 1만 9천 명 증가해 전체 쉬었음 인구 중 차지하는 비중도 0.4%p 늘었는데, 이는 2차 베이미붐 세대의 자식인 '에코붐' 세대가 30대로 진입해 30대 인구 자체가 늘어난 탓으로 보인다.

한편 향후 1년 이내 취업·창업 의사가 있는 비경제활동인구는 0.3%p 하락한 330만 1천 명으로, 전체 비경제활동인구의 20.4%를 차지했다.

향후 1년 이내 취업·창업 희망자 특성을 살펴보면,  취업·창업 희망 사유는 역시 생활비·용돈을 벌고 싶다는 답변(75.3%)이 가장 많았다.

희망하는 고용형태로는 임금근로자(93.9%)와 전일제 근무형태(67.0%)의 인기가 가장 많았다. 시간제 노동자를 희망하는 경우도 26.9%에 달했는데, 본인의 건강 때문(37.3%)이거나, 다른 일·활동(20.5%)이나 육아·자녀교육(19.2%)과 병행해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창업시 주요 고려사항으로, 임금근로 희망자는 근무여건(31.0%)을, 창업 희망자는 수입·수익(47.2%)을 꼽았다.

취업시 희망 월평균 임금은 200만 원~300만 원 미만(43.6%)이 높았고, 300만 원 이상(27.6%), 100만 원~200만 원 미만(21.7%) 순으로 뒤를 이었다.

창업 희망 사유로는 시간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싶어서(32.6%)가 가장 많았지만, 고령화의 영향 등으로 연령에 구애받지 않아서(21.7%)라는 답변도 많았다.

취업·창업 비희망자 비율은 79.6%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했는데, 남자는 통학·진학준비(33.5%)로 취업·창업을 미룬다는 이들이 가장 많았던 반면, 여자는 가사(37.7%)를 이유로 취업·창업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