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선수촌 실내사격장에서 훈련 중인 선수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연합뉴스대한체육회가 사제 총기·경기용 실탄의 시중 유출·유통 논란과 관련해 기존에 밝힌 공식 입장을 뒤집었다.
체육회 유승민 회장은 27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실탄 유출건은) 경찰청 소관이니 상관없다는 체육회의 입장이 맞나"라는 진종오 의원(국민의힘)의 질의에 "그렇지 않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체육회의 실무자가 밝힌 실탄 유출건은 경찰청 소관이라는 공식 입장에 대해) 사전에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며 "(실무자와) 같은 생각이 아니다. 분명히 체육회도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유 회장의 이 같은 발언은 체육회가 당초 공식 입장이라며 밝힌 내용과 상반된 것에 해당한다. 실탄 유출건이 체육회와 무관한 사건이라는 취지의 기존 입장을 번복한 셈이다.
체육회는 기존에 "총기·실탄 등 총포류 소관 기관은 경찰청"이라고 못 박는 등 실탄의 관리 책임이 체육회에 있지 않다고 밝힌 바 있다. (
CBS노컷뉴스 9월 26일자 보도·[단독]'실탄 유출' 화살에 대한체육회, 정면 반박 "경찰청 소관")
체육회의 공식 입장 인지 못했다는 유 회장… 보고 패싱, 보고 체계 논란 소지
대한체육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하는 진종오 의원(사진 왼쪽)과 답변하는 유승민 체육회장. 국회방송 캡처특히 '체육회의 관련 공식 입장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유 회장의 발언은 보고 패싱, 보고 체계 논란을 불러올 소지가 있는 대목이다. 국회의원의 기자회견 직후 사회적 이슈가 된 예민한 사안에 대해 조직의 수장(首長)이 인지 하지 못한 상황에서 체육회가 공식 입장을 밝힌 것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진 의원은 지난달 22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사제 총 100여 정과 경기용 실탄 2만 발이 시중에 유통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 대한체육회 등의 책임을 추궁했다. 그는 관련 의혹을 제기하면서 경찰이 이재명 대통령의 암살 및 저격설과 관련한 기획수사를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유 회장은 진 의원이 주장하는 실탄 유출건에 대해 "문체부와 이달 초부터 합동 감사에 돌입했다"고 강조했다. 학생 선수들까지 동원돼 실탄이 유출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강력하게 조사해 조치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지난 14일 열린 문체부 국감에서 최휘영 장관도 "실탄 사격장의 관리 책임이 각 시·도의 경찰청이라고는 하지만 사용 주체는 사격 선수들이고 대한사격연맹, 대한체육회, 문체부 모두 연결돼 있다"고 밝히는 등 실탄의 관리 부실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는 입장을 전한 바 있다. (
CBS노컷뉴스 10월 14일자 보도·국감 도마 오른 '실탄 관리'… 문체부·체육회, 엇갈린 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