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 황진환 기자조현 외교부장관은 23일 한미 통상협상에 정해진 기간은 없으며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을 위한 협상은 곧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한미 간 통상 협상은 특정 데드라인에 맞추기보다 서로 윈윈할 수 있는 패키지를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협상이 진행 중인 상황이므로 세부 내용을 말하긴 어렵지만, 시한보다 내용이 중요하다"며 "국익과 상업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양국이 모두 이익을 얻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통상 협상과 관련해 미국이 요구한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투자 방안에 대해서는 "투자 구조와 방식, 수익 배분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며 "한 항목을 줄이면 다른 요소가 늘어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한미간 원자력 협정 개정을 위한 협상이 곧 시작할 계획이라며 "우라늄 농축을 해야 하고, 사용후핵연료를 재처리하는 게 필요하다는 것을 아주 강력하게 요청했고 그게 받아들여졌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현재 26개 상업용 원전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 정도의 원자력을 가진 나라에서 연료를 100% 수입해서 쓰는 나라는 없다"며 "안보 차원이 아니라 산업적 차원에서 연료를 만들기 위해 우라늄을 농축해야 하고, 사용후 핵연료는 수조에 두고 있는데 포화상태가 돼 재처리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방위비 분담금 문제와 관련해서는 "미국이 요구하지 않았다"며 "우리 입장을 지켜냈다는 정도로 말하겠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공동선언에 대해 "자유무역은 여기서 복원하기가, 그런 선언이 나오기가 어렵다"고 했다.
그는 자유무역을 강조하는 언급이 선언에 포함될지 여부에 대해 "쟁점으로 남아 있다"며 "협력 정신을 복원할 것이냐, 쉽지 않을 것 같다. 어지러운 국제 정치경제 질서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한다는 것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