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올해 대만의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5%대 중반에 이를 것이라는 주요 투자은행(IB)들의 전망이 나왔다.
1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주요 해외 IB 8곳이 제시한 대만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평균 5.3%로 집계됐다.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0%로 간신히 0%대 저성장을 면할 것이라는 IB들의 전망과 대조된다.
이는 대만 통계청(DGBAS)이 최근 제시한 4.45%보다도 1%p 가까이 높은 수준으로, IB들이 대만 경제의 앞길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뜻이다.
지난 한 달간 노무라와 JP모건 등 5곳이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노무라는 지난 8월 4.6%에서 9월 6.2%로 높였고 JP모건도 5.8%에서 6.1%로 올렸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는 3.5%에서 5.2%, 씨티는 3.5%에서 4.4%, HSBC는 3.3%에서 5.7%로 각각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바클리와 골드만삭스, UBS가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지만 모두 5.0%로 5%대였다.
이처럼 IB들이 전망치를 올린 것은 대만이 올해 들어 반도체 수출을 중심으로 고속 성장을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만은 세계적인 인공지능(AI) 붐과 고성능 반도체 수요 증가 속에 파운드리(위탁 생산) 업체인 TSMC를 중심으로 대미 반도체 수출을 크게 늘렸다.
이에 따라 올해 8월 월간 수출액에서 처음 한국을 앞섰고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8%대를 기록하는 등 호황을 누렸다.
IB들은 내년 대만의 성장률 전망치도 지난 8월 말 2.1%에서 9월 말 2.3%로 0.2%p 높였다.
이런 고성장 속에서도 비교적 저물가를 유지하고 있다는 게 IB들의 분석이다.
또 대만의 올해 1인당 GDP는 3만8천66달러로, 한국(3만7천430달러)을 22년 만에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지금처럼 1400원대로 고공 행진할 경우 양국의 격차는 이보다 더 벌어질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