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도 철강관세 50%로 인상…'최대 수출' 국내 직격탄

노컷뉴스 이 시각 추천뉴스

닫기
  • 0

- +

이 시각 추천뉴스를 확인하세요

연합뉴스연합뉴스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도 역내 산업보호를 이유로 철강 수입 장벽을 대폭 높이겠다고 예고하면서 국내 철강업계에 직격탄이 예상된다.

7일(현지시간) 스테판 세주르네 EU 번영·산업전략 수석 부집행위원장은 엑스(X·옛 트위터)에 "유럽의 철강 공장과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수입산 철강의 (무관세) 할당량을 절반으로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관세는 2배로, 현행 25%에서 50%로 인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기존에 시행중인 철강 세이프가드를 대체하기 위한 새 규정이다. 기존에는 EU가 2018년부터 트럼프 1기 행정부의 철강 관세에 대응해 국가별로 지정된 쿼터 수준까지는 무관세로 수입하되, 초과 물량에 대해서는 25% 관세를 부과하도록 했다.

하지만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따라 내년 6월 말부로 이 세이프가드는 강제 종료될 예정이다.

이날 예고된 새 세이프가드의 시행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기존 제도가 종료되는 내년 6월 전에는 입법 절차 등이 논의될 전망이다.

이번 조치가 현실화되면 한국산 철강도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EU는 한국산 철강의 최대 수출시장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대(對) EU 철강 수출액(MTI 61 기준)은 44억8천만 달러(약 6조 2836억원)로, 단일국가 기준 1위 수출시장인 미국(43억4700만 달러)보다 소폭 많았다.

EU는 쿼터제도가 있다는 점에서 미국과는 일부 차이는 있지만, 수입쿼터가 대폭 줄면 한국 기업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미 지난 4월에도 EU가 철강 세이프가드 물량을 일부 줄이면서 한국산 쿼터가 최대 14% 줄었다.

0

0

실시간 랭킹 뉴스

오늘의 기자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