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심. 박상희 기자 최근 부산지역 미분양 주택이 일시적으로 증가했지만,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 회복세에 따라 향후 안정을 되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부산시는 부산 주택시장 전반의 회복 움직임에 따라 미분양 물량도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25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올해 4~5월부터 동구와 남구, 연제구와 수영구, 사상구와 기장군에서 미분양 물량이 지속적으로 해소되고 있다. 5~7월 사이 동구와 남구, 수영구와 기장군에서는 50호가 넘는 미분양 물량이 해소됐다.
부산시는 2022년 6월부터 이어진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세가 보합으로 전환된 점, 일부 구에서 매매가가 상승세로 돌아선 점, 올해 1월 이후 아파트 거래량이 증가한 점, 지난해 3월 이후 전셋값이 지속 상승한 점 등을 경기 회복 움직임의 근거로 삼았다.
다만 최근 전체적인 미분양 주택 수 증가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고 있다. 일부 고분양가 물량이 대규모로 공급됐고, 후분양 물량으로 인한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미분양 주택 수는 지난 7월 5573호에서 지난달 7146호로 증가했지만 이는 공급 시점과 수요 회복 간의 시차 때문으로 보고 있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 역시 같은 기간 2567호에서 2772호로 늘었지만, 후분양 물량에 따른 증가로 풀이된다.
부산시 주택건축국 배성택 국장은 "일시적인 미분양 증가는 주택시장의 구조적 문제라기 보다는 공급과 수요의 시차에서 비롯된 현장"이라며 "앞으로도 안정적인주택시장 조성과 시민 주거 안정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