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공동취재단한국은행은 11일 서울 지역 집값 상승 기대가 여전히 크다며 9·7 주택공급 대책의 효과 등을 점검하면서 추가 금리 인하 시기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날 한은이 공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이수형 금통위원은 "향후 추가 금리 인하 시기와 폭을 결정하는 데 있어 성장 흐름과 함께 주택시장·가계부채 상황의 안정 여부가 중요한 고려 요인"이라며 이같은 통화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 위원은 "성장세는 다소 개선되고 있지만 잠재 수준보다 낮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성장의 하방 압력 완화를 위해 추가 대응 필요성이 있다"며 추가 금리 인하를 예고했다.
그는 "잠재성장률 하락 같은 구조적 문제는 통화정책만으로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고, 경제 체질 개선을 통해서만 근본적 해결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구조적 저성장에 대응해 통화정책을 완화하면 단기적으로 어려움을 경감할 수 있지만, 부동산 신용 집중도가 큰 국내 여건에서는 주택시장을 자극해 금융 불균형 심화와 주거비 부담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종우 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열린 브리핑에서 이달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미국 고용 지표가 부진하고 어제 발표된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있는 게 사실"이라며 "시카고 페드워치 기준으로는 연내 3회 연속 인하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만약 그렇다면(인하가 이뤄질 경우) 외환시장 변동성만 완화된다면 국내 여건에 집중해서 (통화정책을) 볼 여력이 커진다"면서 "다음 금통위까지 시간이 있기 때문에 금통위원들이 성장·물가 등 실물경제, 가계부채·부동산시장 상황 등 금융안정 측면 리스크, 중립금리, 실질금리 등을 다 살펴보면서 (금리 인하의 시기나 폭을) 결정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