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한미정상회담이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글로벌 통상·안보 질서가 180도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실용주의를 내세워 무난한 데뷔전을 치렀다는 평가가 나온다.
물론 정상회담 이후에도 한미간 '무역 합의'와 관련한 공식 문서가 채택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불확실성'이 완전히 가시지는 않았지만, 물밑에선 여전히 제로섬이 아닌 밀고당기기식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대해 "한국은 (무역협상과 관련해) 뭔가를 할 수 있을지 시도하려고 했다"고 표현했을 정도다.
특히 '젤렌스키 사태'와 같은 외교 파국 상황이 연출되지 않은 점도 전문가들로부터 "좋은 출발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맞이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아찔한 순간도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코앞에 두고 자신의 SNS에 "한국에서 숙청 또는 혁명이 일어나는 것처럼 보인다"고 했고, 정상회담 당일 행정명령 서명식에서는 "최근 한국 정부가 교회에 압수수색을 하고 미군 기지에서 정보를 수집했다고 들었다"고 주장한 것이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취재진들로부터 이와 관련한 질문이 나왔고,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은 전직 대통령의 비상 계엄 이후 정치적 혼란을 막 극복한 상태이고, 지금은 국회가 임명한 특별검사가 사실조사를 진행중인 상황"이라며 "미군 기지에 대한 부분을 설명하자면, 미군 기지를 수색한 것이 아니고 계엄령 당시 한국군의 지휘 체계, 통제 시스템을 살펴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그렇다면 내가 오해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해 해프닝은 일단락됐다.
하지만 이같은 일방적 정보가 어떻게 트럼프 대통령의 귀에 들어갔고, 트럼프 대통령이 공개석상에서 거론할만큼 신뢰를 가지게 됐는지는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연합뉴스앞서 고든 창, 로라 루머 같은 미국 내 극우인사들은 한국 내 일부 세력들의 주장을 가감없이 옮긴 적이 있다.
미국보수연맹(ACU) 등에서 활동하는 고든 창은 한미정상회담이 열리기 열흘 전 미국 의회 전문 매체인 '더 힐' 기고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은 맹렬한 반미주의자로 과거 주한미군을 '점령군'이라 불렀고, 미국이 일본의 한국 식민지 지배를 유지했다고 비난했다"고 주장했다.
고든 창 주변에는 인플루언서 로라 루머, 스티브 배넌 전 백악관 수석전략가 등 마가(MAGA·트럼프 핵심 지지층) 인사들이 두루 포진하고 있어, 이들의 발언은 정부 정책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책사로 불렸던 스티브 배넌은 이재명 정부 출범에 대해 "한국 새정부 지도부가 중국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백악관 인사에까지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극우 성향 인플루언서 로라 루머도 이번 한국 대선 결과에 "공산주의자들이 한국을 점령해 대선에서 승리했다"고 떠들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금이라도 한국의 현실을 왜곡없이 정확하게 미국 조야에 전달해줄 '메신저'가 절실해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귀에는 마가를 등에 업은 일부 인사들의 근거없는 허황된 얘기들이 여과없이 들어가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우려를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느닷없는 '비상 계엄'으로 한국이 큰 혼란을 겪었을 때, 트럼프 대통령이 의도했는지는 모르겠으나 한국 관련 언급을 일절 하지 않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당시 한국측에서는 답답해하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상황에 대해 뭐라고 할지 입만 쳐다보고 있었지, 귀에 대고 팩트(fact)를 전달하려는 노력은 다하지 않았다.
백번 양보해 그때는 비상 상황이라 여의치 않았다고 하더라도, 향후 어처구니 없는 돌발상황을 막기 위해서라도 이제는 다른 접근법을 강구할 때이다.
여기다 자기에게 유리해 보이는 일부분만을 도려내 국내에서 가짜뉴스를 확대 재생산하려는 움직임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벌써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특검 수사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한국이 국제 사회에서 고립될 위기에 처했다"는 식의 사실과 거리가 먼 얘기들이 온라인상에 스멀스멀 고개를 내밀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