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해병대 채상병 순직과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순직해병 특검이 채상병 사건 기록 회수 등과 관련해 군검찰과 해병대 관계자들을 잇달아 소환해 조사 중이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을 둘러싼 '범인 도피 의혹'과 관련해 외교부와 법무부 실무자도 조사하고 있다.
정민영 순직해병 특검보는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오늘 아침부터 이윤세 전 해병대 사령부 공보실장을 조사하고 있다"며 "이 전 실장은 해병대 수사단의 채상병 사건 초동수사 결과가 처음으로 보고된 해병대 사령부 회의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이 전 실장이 대통령 격노를 접한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게 전달한 내용과 지시한 사항 등에 대해 잘 알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한 2023년 7월 31일부터 경북경찰청에 수사 결과를 보낼 때(8월 2일)까지 해병대 사령부 안에서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 주로 조사할 예정이다.
이 전 실장은 2023년 7월 30일 박 대령이 채상병 사건 초동조사 결과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최초 보고한 회의에도 참석했다.
김동혁 전 국방부 검찰단장, 해병특검 출석. 연합뉴스특검팀은 또 김동혁 전 국방부 검찰단장과 김민정 전 국방부 검찰단 보통검찰부장을 소환해 조사 중이다. 정 특검보는 "2023년 8월 2일 해병대 수사단이 경북경찰청으로 보낸 채상병 수사 기록을 국방부 검찰단이 다시 가져오게 된 상황과 이후 박 대령을 항명 혐의 등으로 수사한 경위 등이 핵심 조사 대상"이라고 밝혔다.
7차 조사를 받는 김 전 단장은 2023년 8월 2일 해병대 수사단이 경북경찰청에 채상병 사건을 이첩하자 압수수색영장 없이 이를 무단으로 회수하고, 박정훈 대령에 대한 고강도 수사를 지휘한 혐의를 받는다.
김 전 부장은 염보현 군검사가 박 대령의 구속영장을 청구할 당시 영장 작성 및 검토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앞서 몇 차례 특검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순직해병 특검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과 관련한 '범인 도피 의혹'에 대해 외교부와 법무부 실무자도 불러 조사 중이다.
이기흠 법무부 출입국심사과장, 이용진 외교부 양자경제외교국 유럽경제외교과장, 강수연 외교부 공공문화외교국 심의관 등이 조사 대상이다.
정 특검보는 "이 전 장관 출국금지 해제와 관련된 경위에 대해 외교부 실무자들을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며 "이 전 장관에 대한 출국금지 해제 경위에 대해서 이기흠 법무부 출입국심사과장을 불러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병특검 출석하는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 연합뉴스한편 특검팀은 오는 24일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인물인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에 대한 4차 조사를 진행한다.
25일에는 박상현 전 해병대 1사단 7여단장과 최진규 전 해병대 포11대대장을 다시 불러 조사한다. 박 전 여단장과 최 전 대대장은 각각 채상병 순직 사건의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이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로비 의혹이 제기된 '멋쟁해병' 단체 대화방 멤버였던 송호종씨도 같은 날 재소환해 조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