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환 기자MBK·홈플러스 사태를 조사 중인 금융감독원의 공개 현안 브리핑이 일회성으로 중단됐다. 이달 들어 매주 브리핑을 열겠다는 기존 방침을 금감원이 조용히 거둔 배경을 두고 금융권에서 여러 해석이 나온다.
18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금감원은 지난달 말부터 함용일 자본시장·회계 담당 부원장 산하에 홈플러스 사태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했다. 국내 사모펀드를 상대로 금감원이 대대적인 검사에 나선 것은 최초다.
애초 금감원은 함 부원장과 산하 부원장보가 번갈아가며 매주 현안 브리핑을 열 계획이었다. 이복현 금감원장의 의중이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이 원장은 MBK 측의 변제 약속에 대해 "사실상 거짓말에 가깝다"고 비판하면서 거칠게 날을 세워왔다.
그러나 지난 1일 함 부원장의 브리핑 이후 추가 브리핑은 없었다. 이복현 원장이 10일 자산운용사 대표 간담회가 끝나고 기자들의 질문에 언급한 정도 뿐이다.
이를 두고 당국 안팎에선 매주 현안 브리핑을 여는 것에 대해 적잖은 부담을 느낀 결과로 해석한다.
최근 감사원이 금감원의 '중간검사 결과 발표' 자료를 요구하며 비밀유지 의무 위반 여부를 따져볼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는 것이다.
금감원 내부에서조차 잦은 현안 브리핑이 가져올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향후 수사·재판에서 책 잡힐 빌미를 주지 않아야 한다는 점도 염두에 뒀다고 한다.
금융당국은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에 관한 검사·조사 내용을 다음주 열리는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를 거쳐 검찰에 이첩한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패스트트랙(신속처리)으로 검찰에 넘길 전망이다.
금감원 안팎에서는 이번 조사를 마친 뒤 금감원이 어떤 방식으로 결과를 공개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홈플러스는 금융회사가 아니고 향후 수사도 예상돼 금감원이 전면에 나서기엔 애매한 측면이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