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환 기자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등 의료정책에 반발하며 지난해 집단 휴학한 의대생들이 복귀 마감 시한을 앞두고 대거 등록한 가운데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무늬만 복귀는 반대한다"고 밝혔다.
연합회는 31일 보도자료를 내고 "중증질환자들은 학교로 돌아온 의대생들의 용기 있는 결정에 응원과 지지를 보낸다"며 "복귀 후 투쟁이라는 행태를 보일 것으로 예상돼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어 "일부 의대생들이 일단 제적을 면하려고 들어온 뒤 수업 거부로 의학교육을 망치겠다는 심보라면 이 역시 지탄받아 마땅한 일"이라며 "이러한 모습은 결코 우리 사회가 수용할 수 있는 태도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반복해서 보여주고 있는 통제력을 잃은 무책임한 행동은 그간 의료계가 명분 없는 갈등을 초래했다는 것을 전 국민 앞에 자인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밝혔다.
정부를 향해서도 원칙 없는 태도를 보여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연합회는 "정부는 의료계가 요구했던 7개의 조건을 대부분 수용하거나 회복했고, 일부 사항은 시민단체와 환자단체들의 거센 저항에도 불구하고 의료계의 요구 조건들을 수용해 진행 중"이라고 짚었다.
또 "정부도 더 이상 양보만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여선 안 된다"며 "심지어 정부는 2026년 입학정원 2천명 증원에 대해 원점 검토하겠다며 마지노선도 포기하며 의대생 복귀를 호소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가 다른 대학생과의 형평성을 무너뜨려 가면서, 원칙을 벗어난 관용을 베푼 것이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켜 왔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상기하길 바란다"며 "원칙대로 학칙대로 제적을 예고했으면 그대로 시행하라. 더는 환자의 희생을 방조하지 말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