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23일 야권의 심장인 광주에서 첫 번째 혁신안의 ‘베일’을 벗긴다.
‘기득권 타파’, ‘기강 확립’ 등의 내용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는데, 호남 지역에서의 혁신위에 대한 반감이 만만치 않아 본격적인 혁신 기류를 창출해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21~23일 2박 3일 일정으로 광주를 찾았다. 지난 21일 광주·전남 기초단체장, 22일 광주 광역의원단, 호남 지역 원로 등과 연이어 간담회를 열었지만 당 지도부에 대한 적지 않은 반감을 마주했다.
김 위원장은 22일 기자들과의 만찬 간담회에서 “그렇게 푸근하지 않았다”며 호남 민심을 맞닥뜨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자신을 “광주에서 나고 자란 사람”이라고 소개하며 “고향에 온 느낌이 들긴 하지만, 워낙 치열한 싸움을 하는듯한 느낌”이라고 털어놨다. 그만큼 혁신위에 대한 광주의 민심이 호락호락하지 않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광주 원로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도 이흥길 광주전남민주화운동동지회 상임고문은 “문 대표 이 양반이 ‘참 아리송하다’라는 느낌을 받고 있다”며 “별 일 아니란 것처럼 아름다운 승복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선거 패배를 반성 없이 받아들이고 있다는 뼈아픈 질책이다.
김 위원장 입장에선 문 대표를 비롯한 친노(親盧·친노무현) 진영에 대한 지역사회의 비판을 대신 받은 모양새다. 이미 광주·전남 기초단체장 간담회에선 “현 지도부 체제 내의 혁신위를 믿을 수 없다”는 발언까지 나온 참이다.
그럼에도 혁신위가 ‘계파 청산’ 의제라는 과업을 달성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정채웅 혁신위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계파는 자연스러운 정치 현상”이라며 “계파 활동과 친노 패권주의를 구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 주류 세력에 대한 지역의 반감과는 차이가 있는 문제의식이다.
김 위원장도 혁신위 구성이 ‘친노 운동권 중심’이라는 당 안팎의 비판에 대해 “이런 전제는 친노와 호남의 갈등 관계를 구조화하려는 시도가 만들어낸 개념”이라고 반박했다. 호남 기득권을 누리고 있는 일부 정치 세력이 지역 주도권을 위해 친노와의 대결 구도를 만들어 냈다는 것이다.
광주=CBS노컷뉴스 유동근 기자메일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