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남제분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는 영남제분 안티카페 모습 (영남제분 안티카페 캡처)
			영남제분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는 영남제분 안티카페 모습 (영남제분 안티카페 캡처)
		
	
	 
 
영남제분에 분노한 네티즌들이 영남제분 거래기업의 불매운동에 나서면서 관련 기업들이 해명에 나섰다.
한 회원이 올린 5월 21일 농심의 분기보고서를 보면 “당사는 대한, 동아, 한국, CJ, 대선, 영남, 삼화, 삼양 밀맥스 등 국내 8개사 중 7개 업체와 거래 중에 있습니다”라고 영남제분과의 거래사실이 명시돼 있다.
이에 ‘안티 영남제분’ 카페에 가입한 약 4천 명의 회원들은 ‘이제 농심 안 사먹을 거예요’, ‘영남제분 몰락에 큰 걸림돌이 되는 농심’, ‘영남제분 밀가루를 원재료로 쓰며 사용한 음식물은 앞으로 내 평생 절대 구매하지 않겠다’, ‘이 시간 이후로 농심제품 안 먹겠습니다’ 등의 글을 남겨 농심 불매의사를 표현했다.
농심 관계자는 1일 CBS 노컷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6월 13일 부로 영남제분의 밀가루는 농심에서 사용하지 않기로 했다”며 “이전에 거래한 것은 사실이지만 CJ나 동아와 같은 큰 기업들이 주 거래대상이고 영남제분 밀가루는 아주 소량만 사용했었다”라고 밝혔다.
앞서 거래기업으로 지목된 삼양식품과 CJ제일제당도 트위터에 "현재 영남제분과 거래를 하지 않고 있다"라는 입장을 전한 바 있다. 
지난달 29일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2002년 ‘여대생 청부 살해 사건’의 피의자 영남제분 회장 전 부인 윤모씨가 ‘형 집행 정지’를 받고 감옥이 아닌 병원에서 생활하게 된 내막을 파헤쳤다.
						
						
		
							 CBS노컷뉴스 유원정 인턴기자메일구독
CBS노컷뉴스 유원정 인턴기자메일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