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 메시지 주고받는 트럼프와 김정은…'북미정상외교'로 가닥?

김정은, 트럼프 겨냥 '초대국 공존의지' 강조
트럼프팀, 북미정상 직접대화 추진방안 논의
우선순위 중심 아닌 '동시다발'적 현안 접근
북한문제 임기 2년 지나면 실질적 진전 어려워

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북미대화와 관련한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주고받으며 '탐색전'을 벌이는 양상이다.
 
미국대선이 끝난 후 김 위원장이 먼저 움직였다. 지난 21일 북한의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4' 개막식 연설이다.
 
김 위원장은 이 연설 중에 "우리는 이미 미국과 함께 협상주로의 갈수 있는 곳까지 다 가보았으며 결과에 확신한 것은 초대국의 공존의지가 아니라 철저한 힘의 입장과 언제 가도 변할 수 없는 침략적이며 적대적인 대조선 정책"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물론 트럼프라는 이름을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발언은 김정은이 트럼프 당선인에게 보낸 첫 메시지로 간주됐다. 김정은이 비핵화 협상에 선을 그으면서도 '대조선 적대시 정책의 철회'라는 북미협상의 기본원칙을 트럼프 당선인에게 미리 확인하는 의도로 분석됐기 때문이다.
 
북한 전문가들은 이 발언 중 "초대국의 공존의지"라는 대목에 주목했다. 말을 뒤집으면 초대국, 즉 미국이 '공존의지'를 보여준다면 협상을 할 수 있다는 뜻이 되기 때문이다. '공존'은 이른바 핵보유국 북한과의 공존을 의미한다. 비핵화 협상이 아닌 핵 군축 협상 가능성을 내포한 말이다.  
 
사실 트럼프 당선인은 김 위원장이 언급한 '공존(共存)'과 비슷한 취지의 말을 여러 차례 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대선 과정에서 "핵무기를 가진 김정은과 잘 지내는 것은 좋은 일"이라는 발언을 반복한 바 있다. 트럼프 식의 '공존'을 말한 셈이다.
 
트럼프를 거명하지 않은 김 위원장의 간접 메시지에 이어 26일에는 트럼프 측에서 김 위원장에게 전하는 듯한 메시지가 언론 보도로 나왔다. 트럼프 팀 내에서 당선인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의 직접대화 추진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것이다. 
 
2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팀은 새로운 외교 노력을 통해 북한과 무력 충돌 위험을 줄일 수 있기를 희망하는데, 다만 이런 논의는 유동적이며 트럼프 당선인이 최종 결정을 내리지는 않았다고 했다. 
 
아울러 트럼프 당선인의 초기 목표는 김 위원장과의 관계를 복원하는 것이지만, 추가적인 정책 목표나 정확한 시간표는 정해지지 않았다는 말도 덧붙였다.
 
연합뉴스

트럼프 당선인의 최종결정과 정책목표, 시간표 등에 대해서는 정보가 없지만 '북미정상의 직접대화'라는 메시지는 확실히 발신한 셈이다. 트럼프 팀에서 이런 메시지로 북한의 의중이나 반응을 떠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당초 북한 문제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전쟁, 국내 현안보다 우선순위에서 밀려 임기 중반이후에나 대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그러나 트럼프 당선인 측에서 북한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메시지를 발신함에 따라 예상보다 일찍 북미대화를 시도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북미 탐색전의 계기로 주목되는 것이 향후 시작될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다. 북한이 러시아에 파병을 한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하는 종전 협상 과정에서 북한 문제도 자연스럽게 연동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물론 트럼프 1기 때보다 북한의 핵 능력이 훨씬 고도화되면서 협상의 문턱이 높아졌다. 비핵화 협상인지 핵군축 협상인지, 핵동결 협상인지 협상의 조건과 목표, 범위 등도 불투명하다. 이에 따라 북미대화의 시작자체가 어렵고, 시작이 된다고 해도 성과를 낼 것이라고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트럼프 당선인이 임기 내 풀어야할 현안 중 하나로 북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음은 분명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대화 시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성훈 전 통일연구원장은 "트럼프 당선인은 임기가 이번 4년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전쟁 등 각종 현안의 순차적인 접근이 아니라 동시다발적인 해결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며 "트럼프와 푸틴이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북한 문제의 해결방안도 논의되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 내정자는 지난 11일(미국 현지시간) 공화당 후원자들과의 비공개 모임에서 "정부를 대변혁할 수 있는 기간은 트럼프 당선인의 2기 임기 4년이 아닌 다음 중간선거까지인 2년"이라고도 강조한 바 있다. 
 
북한 문제도 트럼프 2기의 임기 2년 안에 해결 방안의 가닥을 잡지 못하면 실질적인 진전은 보지 못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