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2기 체제의 딜레마…용산 색깔 빼기 '한계'

통합형·수도권 '방점'…1기 지도부 대비 강화
이만희 사무총장, TK 출신 尹 수행단장 출신
'수직적 당정' 탈피 여론 받들기엔 구조적 난점
유의동 정책위의장 등 일부 외연 확장, 金 측근 임명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는 16일 제2기 체제를 출범시켰다. 지난 10·11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 이후 쇄신 여론에 대한 화답으로 '통합형·수도권' 전진 배치에 방점을 찍었다.

하지만 사무총장에 대구·경북(TK) 출신인 이만희(재선, 경북 영천·청도) 의원을 앉히는 등 친윤(親尹) 주류가 여전히 핵심에 포진해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인적 쇄신을 통한 변화의 방향이 수직적 당정 관계를 수평화하는 데 있다면 구조적 한계를 지닌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여전히 '친윤 색깔 빼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이날 새 정책위의장으로 3선 유의동 의원(경기 평택을)과 이 사무총장 등 교체 인선을 발표했다. 여의도연구원장으로는 재선 김성원 의원(경기 동두천·연천), 지명직 최고위원으로는 초선 김예지 의원(비례), 조직부총장으로는 함경우 당협위원장(경기 광주갑)이 새로 지도부에 합류하게 됐다.
 
또 수석대변인엔 초선 박정하 의원(강원 원주갑)이, 선임대변인엔 윤희석 대변인(전 서울 강동갑 당협위원장)이 각각 임명됐다.
 
김 대표가 구상한 '쇄신'의 면면이 드러나는 인선이다. 그간 당 안팎에선 '김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 전면 교체'의 필요성이 화두에 올랐지만, 김 대표를 중심으로 한 체제 자체는 유지하면서 변화를 모색하겠다는 의지인 셈이다.

국민의힘 이만희 신임 사무총장이 16일 김기현 대표와 비공개 간담회를 가진 뒤 국회 당대표실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일단 예고대로 수도권 인사들이 전면 배치됐다. 유 정책위의장과 김성원 여연원장, 함 조직부총장, 윤희석 선임대변인 등이 수도권에 거점을 두고 있다. 사퇴한 당직자 8명 중 5명이 영남권이고 2명이 강원권인 점을 고려하면 어느 정도 지역 안배는 이뤄진 셈이다.

앞서 현역 의원들은 "대통령실만 쳐다볼 게 아니라 국민의 소리를 앞서 전달할 결기가 있는가. 그럴 각오가 없다면 물러나라"(5선 서병수 의원) "임명직 당직자 사퇴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 죽어야 산다"(초선 최재형 의원) 등 공개적인 압박에 나섰다.
 
새로운 당직 인선은 이같은 여론을 감안했지만, 정작 선거 패배 과정에서 비판이 불거진 용산 대통령실과의 수직적 관계를 탈피하는 데엔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사 면면에서 '친윤'의 간판을 떼어내지 못했다는 평가다.
 
예를 들어 총선 공천에서 핵심적인 당무를 수행하는 이 사무총장은 윤석열 대통령 후보 당시 수행단장으로 역할했다. 김 여연원장 역시 계파색은 옅지만 친윤으로 분류된다.

때문에 당장 어려움을 겪는 수도권·충청권 원외 인사들은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한 의원은 "우리 당이 현재 직면한 비(非) 현역, 원외 민심이나 판단이 충분히 반영될 만한 인선이 아니라고 본다"라며 "이런 식으로 대통령실에 제대로 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유 정책위의장과 김 최고위원은 한때 친유승민계로 분류됐던 인물들로 외연 확장, 통합형 인선에 나름 공을 들인 흔적은 물론 존재한다. 유 정책위의장의 경우 김기현 대표의 원내대표 재임 당시 정책위의장으로 호흡을 맞춘 측면도 있어 김 대표의 당 장악력도 고려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김 대표는 이날 '2기 체제' 당직자들과 첫 회의를 열었다.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민생 문제를 중심으로 당이 단합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며 "정쟁보다는 서민의 아픈 부분, 가려운 부분을 보듬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실시간 랭킹 뉴스